BSA 발표, 한국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률 38%로 사상 최저 기록
|
|
|
|
우리나라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보다 높은 38%이며, 피해액도 72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니스소프트웨어연합(BSA)은 세계 116개 국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BSA 글로벌 소프트웨어 조사보고서 '를 전세계 동시 발표하고 우리나라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률이 조사 이래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BSA는 격년으로 발행되는 이 보고서에서우리나라 불법 소프트웨어사용률이 2011년 40%에서 2% 낮아져 38%를 기록했으며 세계 평균은 42%에서 43%로, 아시아 평균은 60%에서 62%로 각각 증가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률은 아태지역의 경쟁 국가인 일본(19%), 뉴질랜드(20%), 호주(21%), 그리고 OECD 주요국가 평균 (25%)을 상회했으며,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으로 인한 피해액도 약 7200억원에 달해, 피해액 규모로만 보면 우리나라는 전세계 19위다.
이번 보고서에서 일본은 2011년 21%에 비해 2% 감소한 19%를 기록, 처음으로 10%대에 진입하면서 미국(18%)과 함께 불법 소프트웨어사용률 10%대를 기록한 단 2개의 국가 중 하나가 됐다.
중국은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률 74%, 피해액 87억달러를 기록해 여전히 심각한 문제를 드러냈으며, 신흥 대국이라 불리는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는 피해액 규모에서 상위 2위에서 6위까지를 차지해 이들 국가에서의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의 심각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PC 시장은 2011년 3억6400만대를 정점으로 2013년에는 3억1500만대로 출하량이 떨어지고 있는 반면, 태블릿 컴퓨터는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현재 전세계적으로 17억 대의 PC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중 56%가 신흥국가들에 집중돼 있으며 전세계 불법 소프트웨어의 73%가 이들 신흥국가에서 나타나고 있다.
BSA 박선정 한국 의장은 "우리나라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률이 처음으로 30%대로 낮아진 것은 그동안 정부의 노력과 업계의 노력이 결실을 봤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아직도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으로 인한 피해액이 712억 달러로 세계 19위에 이르는 등 문제가 여전히 심각하기 때문에 정부의 단속 활동을 통한 조치가 지속돼야 하며, 기업들은 소프트웨어 자산관리 기법을 통해 법적인 문제뿐 아니라 데이터 보안 문제를 예방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bbrex@fnnews.com 김혜민 기자
☞ 공식 SNS계정 [페이스북][트위터]| ☞ 파이낸셜뉴스 [PC웹][모바일웹]| ☞ 패밀리사이트 [부산파이낸셜뉴스][fn아이포커스][fn아트]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강주은 "남편 최민수♥와 관계 가졌던 여자들과 친해"
- 알몸 차림으로 '시간당 8만원' 버는 美청소부..."이게 신종 직업이라고요?"
- 이미주 "김종민 나 좋아해…내 사진 확대해서 봐"
- 전처, 남친 생기자 "죽겠다" 협박…서장훈 "너 뭐하는 놈이야?" 격분
- [영상] "여종업원이 뺨 때려드려요" 따귀 서비스로 인기 끈 日식당 '황당'
- 신동엽 "병원서 소변통으로 '19금 드립'…간호사에 미친X 소리 들었다"
- 부패될 때까지 방치된 70대女..집안에 지적장애 50대 조카도 함께 있었다
- "안성현이 3억 가로챘다"..고소당한 성유리 남편, 무슨 일?
- 日 86세 할머니, 공원 벤치서 숨진 채 발견…50대 아들이 범인
- "아이 더 키우고 싶어" 대리모 3명에 자녀 낳아 호적 올린 60대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