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임금없는 성장' 최악..실질임금↓ 노동생산성↑
"주요국 중 노동생산성 증가는 최고, 실질임금 증가는 바닥"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실질 임금은 줄고 노동생산성은 늘어나는 '임금없는 성장'이 주요국 중 한국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7일 '임금없는 성장의 국제 비교' 보고서에서 한국은 실질 임금과 실질 노동생산성이 서로 비슷하게 움직이다가 2008년 금융위기를 계기로 격차가 심하게 벌어지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명목 임금을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조정한 한국의 실질 임금(사회보장기여금 포함)은 2007년∼2012년 사이에 2.3% 줄었다. 1997년∼2002년과 2002년∼2007년에는 실질 임금이 각각 19.4%와 17.6% 증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료를 얻을 수 있는 28개 국가를 보면 2012년(또는 2011년) 실질 임금이 2007년과 비교해 한국보다 더 많이 하락한 나라는 11개 국가였다.
그러나 재정위기를 겪은 PIIGS(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국가와 1인당 GDP가 세계 40위권 밖인 나라 등 10개국을 빼고 비교하면 실질 임금 하락 폭이 한국보다 더 큰 국가는 18개국 중 영국, 일본, 이스라엘 등 3개국뿐이다.
이에 비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근로자 수로 나눈 한국의 실질 노동생산성은 2007∼2012년 9.8% 늘었다.
이 기간 한국의 실질 노동생산성은 비교 대상 18개국 중 가장 빠르게 상승했다.
결국 한국은 비교 대상 주요국 가운데 노동생산성은 가장 빠르게 늘고 임금 증가 속도는 최하위권에 속해 두 지표의 격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
박 연구위원은 "극심한 경제위기를 겪은 국가를 빼면 한국의 '임금 없는 성장'이 가장 심각하다"면서 "실질 임금이 노동생산성에 맞춰 늘어나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indy@yna.co.kr
- ☞ 아베 "軍위안부 가슴아파…日생각·방침 설명할 것"
- ☞ 朴대통령, 정총리 사의 참사수습후 시간차 수리
- ☞ "세,세,세…" 얼마나 급했으면…승객들 112에도 전화
- ☞ "원망스러운 시간"…세월호 수색 큰 진전 없어
- ☞ "유병언, 사진판매로 500억 비자금조성 의혹"
▶이슈에 투표하고 토론하기 '궁금한배틀Y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그렇고 그런 사이" 상관 불륜 암시한 부사관, 징역형 집유 확정 | 연합뉴스
- 엿가락처럼 휘어버린 화순 풍력발전기…원인 규명 '미지수' | 연합뉴스
- 수원 아파트서 숨진 모녀는 통합관리대상…건보료 등 체납 | 연합뉴스
- 결혼할 듯 속여 지적장애인 재산 가로챈 50대 2심서 형량 ↑ | 연합뉴스
- "이재명 암살단 모집"…SNS에 글 올린 30대 검거 | 연합뉴스
- 마을회관 지붕 고치다 추락 70대, 장기기증으로 3명에 새 생명 | 연합뉴스
- 인천 공원서 사실혼 여성 살해하고 도주한 50대 검거 | 연합뉴스
- 30년 넘은 가정폭력에 부친 살해한 30대…검찰, 징역 15년 구형 | 연합뉴스
- "홍채 인식하면 2만원" 청소년 꾀어 정보수집…긴급스쿨벨 발령 | 연합뉴스
- 현직 경찰관이 식당서 옆자리 손님 휴대전화 훔쳐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