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지방경제] 中企, 인력난에 해외로.. 지방경제 더 힘들게 해
구미에서 신창메디칼이란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김용창 구미상공회의소 회장은 최근 캄보디아를 다녀왔다. 공장 이전을 검토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오죽하면 구미상공회의소 회장인 내가 기업 존속을 위해 불가피하게 외국으로 공장 이전을 검토하겠느냐"고 했다.
경기 불황과 인력난이 겹치면서 외국으로 눈을 돌리는 지방 중소기업들도 조금씩 늘고 있다. 지방 중소기업들이 꼽는 인력난의 핵심 이유는 여전히 임금이다. 김용창 사장은 "가뜩이나 인력난으로 허덕이는데 외국인 노동자 임금을 국내 근로자와 비슷하게 맞춰야 한다는 규정 때문에 외국인 노동자 채용마저 여의치 않다"고 했다.
구미공단에 있는 매출 1조3000억원의 도레이첨단소재 5년차 생산직 근로자의 평균 연봉이 7000만원대. 반면 중소기업에 갓 입사한 생산직 근로자 연봉은 2400만원 수준이다. 이 정도 연봉을 받고 험한 일을 하겠다는 20대가 없어 채용에 애를 먹고 있는 것이다.
대구에서 고기능 섬유를 생산·가공하는 A사는 인력난에 시달리다 못해 지난해부터 정년을 55세에서 58세로 늘렸다. 새로운 인력을 뽑기가 쉽지 않자, 차선책으로 정년퇴직 이후에도 본인이 원하면 계약직으로 계속 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사 관계자는 "회사 대표가 베트남으로 공장을 옮기려고 현지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인력 시장 불균형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비정규직 600만 시대'(통계청 발표)라고 하지만, 비정규직은 대기업이나 이른바 '좋은 직장'에서 생기는 문제라고 중소기업인들은 말한다. 지방 중소기업은 정규 직원을 뽑는다고 해도 사람을 구하지 못해 아우성이란 것이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4월 사업체 2만8000여개를 표본 조사한 결과에서도 기업들의 적극적인 구인 활동에도 필요한 직원을 뽑지 못한 '빈 일자리' 수가 18만7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14만3000개)보다 30% 늘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통신칩도 대만 승리?… '조용한 경영' 삼성, 추월 당했다
- ‘기무치 다음은 맛코리?’ 원조 한국산 자리 밀어내는 일본산 막걸리
- 이젠 中·日도 있는데… 韓, mRNA 기술 확보 밀린 이유
- 野 양곡법의 역설… 쌀에 3.5조 붓고도 농가는 더 굶는다
- "전기차 주역, 테슬라 아닌 K배터리" 혁명 속 숨은 진실
- 드디어 반등장?… 서울 아파트 거래량, 1년 반만에 '최고'
- ‘9년째 공터’ 용산 금싸라기땅… 부영, 착공 안하는 이유
- 코스닥 시총 50위권에도 못 들었는데 10위로 ‘쑥’…레인보우로보틱스에 쏠리는 눈
- "맥심 화보 찍었으니 양육권 내놔라"…소송 당한 교수
- 노소영, 최태원 동거인에게 위자료 30억원 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