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체크' 탑재 네이버툴바 실효성 논란

유정현 2013. 5. 9. 20: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용자 툴바설치 소극적·보안취약 우려

미래창조과학부가 인터넷홈페이지에 숨어있는 악성코드를 찾아주는 `웹체크' 기능을 네이버의 툴바에 적용해 확산시킨다는 발표 이후 실효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미래부는 지난 6일 네이버의 툴바에 웹체크 기능을 적용해 국민들의 안전한 인터넷 사용 환경을 확산시키겠다고 밝혔으나 일부 누리꾼들과 업계는 큰 실효성이 없다는 의견이다.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툴바가 웹브라우저의 구동을 무겁게 해 이용자들 대부분이 툴바 설치에 적극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도 이스트소프트나 다음 등의 포털이 웹체크 적용을 논의하고는 있지만 적용 확정 업체는 물론 방법도 크게 얘기가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누리꾼은 "네이버에서 툴바를 검색하면 삭제 방법에 대한 문의가 연관 검색어에 첫번째로 보인다"며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만든다는 정부 취지는 좋으나 네이버 툴바와 손잡고 웹체크를 확산시키겠다는 것은 다소 엉뚱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툴바 자체의 보안도 취약하다는 지적이 있다. 프로그램을 내려 받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해커의 표적이 될 수 있고, 툴바를 통해 이용자가 어떤 사이트에 접속을 하는지 해커는 물론 관계 기관도 관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툴바를 다운로드하면서도 보안의 취약점에 노출될 수 있다"며 "구글은 물론 이스트소프트 등 업체는 별도 프로그램 없이도 데이터베이스(DB)로 피싱 웹사이트를 탐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미래부가 웹체크 확산에 왜 브라우저가 아닌 툴바를 선택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국내 포털업계의 공룡인 네이버의 툴바를 웹체크와 연계한 것도 특혜라는 논란이 일고 있다. 업체가 마케팅을 진행해야 하는 서비스나 솔루션을 정부가 국민의 세금으로 홍보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미래부 관계자는 "웹체크는 인지도가 낮아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며 "국민들이 안전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확산하겠다는 취지에서 네이버의 간편한 툴바 기능에 적용한 것으로 향후 업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 관계자도 "웹체크를 툴바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네이버에 어떠한 특혜가 있었던 것이 아니라 적용 시점이 다른 업체들보다 빨랐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웹체크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개발한 악성페이지 차단 프로그램이다. 인터넷진흥원의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이용자가 접속한 웹사이트에 악성코드가 있거나 피싱 위험이 있을 경우 경고화면을 통해 페이지 접속을 차단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다.

유정현기자 juneyoo@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