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역' 논란 제기된 탑골 독립선언서 영문본, 3·1 동참 미 교포가 쓴 것

이효상 기자 2013. 3. 1. 21:4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4년 전 '3·1운동'이 시작된 서울 종로2가 탑골공원에 있는 독립선언서 비문에 새겨진 영어 번역본을 보면 어색한 표현과 누락된 문장 등이 다수 발견된다. 이에 따라 후대에서 독립선언서를 잘못 번역해 3·1절의 의미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1일 경향신문 취재 결과 이 영어 번역본은 1919년 미국에서 3·1운동에 동참했던 한인 동포들이 직접 쓴 독립선언서 영문판으로 1일 확인됐다. 100년 전 영어표현이다 보니 현대 영어와 다른 점이 많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탑골공원 독립선언서 영문본을 보면 '슬프다! 오래전부터의 억울을 떨쳐 펴려면…'에서 '슬프다'가 'Assuredly'로 표현돼 있다. 'Assuredly'의 현재 사전적 의미는 '기필코'란 뜻이다. 지금은 통상 '슬프다'는 표현의 영어로 'Alas'가 쓰이고 있다.

또 '오늘 우리의 이번 거사는 정의, 인도와 생존과 영광을 갈망하는 민족 전체의 요구'라는 부분은 'This work of ours is in behalf of truth, religion, and life, undertaken at the request of our people'로 옮겨져 있다. '정의'는 일반적으로 'justice'란 표현이 쓰이는데 영문판은 '진실'이란 의미의 'truth'를 썼다.

또 원문의 '인도'란 표현은 영문판에서 아예 빠지고 대신 원문에 없는 'religion'(종교)이란 단어가 들어갔다, 이 때문에 일부 언론은 독립선언서 오역 논란을 제기했고, 종로구청 관계자도 "1980년에 선언문 비문을 세웠는데, 번역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다"고 밝혀 논란이 증폭됐다.

그러나 이 번역본은 1919년 3·1운동이 해외로 번져나가면서 미주 한인동포들로 구성된 '대한국민회'라는 독립운동 단체 회원이 쓴 것으로 밝혀졌다.

이 영문판 원본은 대한국민회 회원의 후손인 수잔안씨가 기증해 현재 천안 독립기념관에 보관돼 있다. 독립기념관 관계자는 "현재의 관점에서 어색한 표현이 있다해도 한국 독립운동사를 증언해 주는 소중한 유산"이라고 말했다.

<이효상 기자 hsl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