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 방화복 4벌 중 1벌은 폐기대상
소방 사다리·굴절차 34대 내구연한 지나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 화재 현장에서 소방관의 생명을 보호하는 방화복과 공기호흡기, 장갑, 헬멧 등 안전장비가 부족할 뿐 아니라 상당수가 폐기대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9일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국 소방관 진압장비와 보호장비 노후율이 17.3%이고 차량 노후율은 19.4%이다.
화재 진압 출동시 입는 방화복은 수량은 7.4% 부족하고 그나마 4벌 중 1벌꼴인 23.9%는 내구연한이 지난 것이다.
장갑과 안전화는 수량이 필요보다 각각 18.7%와 21.8% 적은데다 보유분 중 25.4%와 16.8%를 처분해야 한다.
공기호흡기가 없는 소방관이 1천849명(5.1%)에 달하고 노후율은 3.3%이며, 헬멧은 1인당 1개 이상 있지만 노후율이 24.9%에 달한다.
방사능으로부터 보호하는 방사능보호복은 5천310벌이 필요한데 620벌(11.7%) 밖에 없고 그나마 3벌 중 1벌(31.6%)은 내구연한을 넘겼다.
지자체 재정 여건에 따라 사정이 크게 달라서 대구시는 소방관들이 화재시 유독가스를 맡지 않도록 쓰고 들어가는 공기호흡기가 557개(31.6%)나 부족하고 그나마 42.8%는 폐기 시점이 지났다.
대구시는 다른 장비도 노후율이 방화복 46.8%, 안전화 58.2%, 장갑 48.7%, 헬멧 44.5% 등으로 절반 가량이 사용 기준에 맞지 않는 셈이다.
심지어 일부에서는 소방방재청 규격에 맞지 않는 저가 장비를 구입하기도 한다.
최근 발생한 한 화재 사고에서는 소방 장갑이 불에 녹는 바람에 손의 피부가 함께 벗겨지는 일이 있었다.
소방차량의 경우 사고 위험이 큰 사다리차가 190대 중 16대(8.4%)가, 굴절차는 203대 중 18대(8.9%)가 내구연한 15년이 지났다.
특히 가장 높은 52m이상 사다리차 97대 중 6대와 35m이상 굴절차 47대 중 6대 등이 1992∼1996년에 생산됐다.
사다리차는 한 대 가격이 수억원에 달하다보니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에서는 교체하지 못하고 내구연한이 지났는데도 전문가 진단 등에 따라 1∼2년 단위로 연장해 사용하고 있다.
부산은 사다리차가 23대 중 7대(30.4%)가 내구연한이 지났고 강원은 20대 중에 52m이상 사다리차 4대와 35m이상 굴절차 2대 등 6대(30.0%)가, 전북은 17대 중 4대(23.5%)가 교체대상이다.
merciel@yna.co.kr
[이 시각 인기 기사]
☞ 김재균, 전두환ㆍ노태우 前 대통령 경호중단 추진
☞ < 박근혜 3차례 눈물..의원들 "대승적 결단" >
☞ < "왜 全 전대통령 경호동만 갖고 그래?" >
☞ < 박경철, `안철수재단'에 소득 10% 기부키로 >
☞ LG전자, 5인치 스마트폰 '옵티머스 뷰' 공개
<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표> 소방장비 보유율과 노후율
- "노후 소방장비 교체 6천700억원 필요"
- '하루 25시' 소방관, 피로.노후장비와 싸운다
- 전두환 손자 입국 직후 체포…마약투약 혐의 수사
- 10년 전 'CO 중독' 판박이 사고에도 손 놓고 있던 석탄공사
- 대문호 보르헤스 타계 두 달 전 결혼했던 일본계 부인 별세 | 연합뉴스
- 정순신 아들 "장난을 학폭으로 몰아"…담임은 "깊이 반성"
- '성과급 잔치' 금융회사들, 점포 740개·임직원 1천500명 줄여
- 노소영, 최태원 SK회장 동거인에 30억 위자료 소송
- 與김재원 "전광훈, 우파 천하통일"…비윤계 "총선 어쩌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