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한밭도서관 오픈소스 SW 선제적 도입
대전광역시 한밭도서관이 선도적으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SW)를 적극 도입해 시스템 구축비용을 대폭 줄이는 등 큰 효과를 얻고 있다.
한밭도서관은 최근 대전지역 통합 도서정보시스템 구축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오픈소스SW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도서관은 시민 편의성과 운영 효율성을 위해 대전지역 22개 공공도서관 및 소규모 도서관의 소장자료에 대한 통합 검색목록 시스템과 통합 도서회원정보 관리를 위해 국산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인 `큐브리드'를 채택했다.
또 한밭도서관 홈페이지 서버 등 도서관 내 10여대 서버의 운영체제(OS)로 우분투, 센트OS 등 리눅스 OS를 채택했다. 현재 도서관내 전체 윈도 서버 중 70% 가량을 리눅스 서버로 전환했으며, 오픈소스 웹 서버(아파치), 애플리케이션 서버(톰캣) 등도 오픈소스 SW를 사용하고 있다.
한밭도서관 최태현 주무관은 "DBMS, 서버용 OS 등 주요 SW를 오픈소스SW로 전환함에 따라 예산절감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DBMS는 상업용SW 도입에 비해 80% 가량, 서버용 OS는 60~70% 가량 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또 "오픈소스SW는 커뮤니티를 통해 필요한 자문을 쉽게 받을 수 있어 오픈소스SW 사용에 따른 불편은 없다"며 "향후 도입하는 SW도 가급적 오픈소스SW를 사용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오픈소스SW는 저작권자가 소스코드를 공개해 누구나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하고, 복제, 배포, 수정할 수 있는 SW다. 개발 프로젝트에 세계적으로 수많은 개발자가 참여해 높은 수준의 성과물을 얻을 수 있고, 소스코드에 대한 접근성이 보장돼 시스템간 호환성과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는 일관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또 SW 도입비용이 줄어 경제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국내는 외국에 비해 오픈소스SW 활용이 부진한 편이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IDC에 의뢰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50% 이상의 기업이 IT 예산의 1% 미만을 오픈소스SW에 투자하고 있으며 18개월 내에 오픈소스SW를 도입의사가 있는 한국기업은 4%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식기자 dskang@
◆사진설명 : 대전지역 통합 도서정보시스템 구축사업에 오픈소스 SW 도입으로 구축 비용을 크게 절감한 한밭도서관.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金 밀리자 등판한 윤핵관 "안철수, 가짜 윤심팔이"… 安 "불안한가"
- 최고위원 선거도 `친윤 vs 비윤` 대리전
- [주목! 이 법안] 소속 연예인에 회계정보 연 2회 제공… `이승기 사태` 재발 방지
- 심상찮은 안철수 지지율 상승세… 나경원과 연대 가능성 시사
- "국민연금 보험료율 15%·가입 상한 64세 공감대"
- 주호영 만난 중기업계 "뿌리산업에 섬유 넣어달라"
- TK서 박정희 향수 자극한 尹 "위대한 지도자가 이끈 미래 계승"
- 尹 "UAE 300억불 투자, 韓 평가 시금석… 치밀한 운용안 준비하라"
- 조용한 내조?…김건희 여사 "디자이너분들이 세계 중심"
- [주목! 이 법안] 국회대학원 만들어 의회분야 전문가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