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손만 대면 휙휙 장년층 '디지털 스트레스'
"모양이 예뻐서 구입했어요. 딸이 샀는데 너무 세련돼 보여서 덩달아 샀지요. e메일 관리, 인터넷 활용, 자료 다운받기 같은 기능은 쓸 일이 별로 없지만 첨단제품을 사용한다는 자부심이 있어요. 친구들을 만나면 자랑해요."
주부 이모씨(52·서울 압구정동)가 아이폰을 산 이유다. 스마트폰의 주요 구매층은 20·30대지만 이들의 뒤를 잇는 것은 10대가 아니라 '디자인이 예뻐서,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으려고' 샀다는 40대 이상 장년층이다. 지난해 12월 말 현재(당시 아이폰 구매자 20만명)를 기준으로 연령대 구매율은 20대 45%, 30대 36%, 40대 이상 16%다. 10대는 3%에 그쳤다.
그러나 스마트폰을 무조건 샀다가는 다양한 기능에 오히려 스트레스만 받기 십상이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모여드는 인터넷 카페에는 "벨소리를 바꾸는 데 이틀이나 걸렸어요" "사용설명서를 봐도 어떻게 하라는 건지 모르겠어요"라는 글이 심심찮게 올라온다. 대부분의 스마트폰 사용설명서는 책자처럼 두껍거나, 아이폰처럼 1~2쪽짜리 간단한 설명서만 끼워 있고 나머지 정보는 인터넷이나 기기의 내장프로그램을 이용하도록 돼 있어 난감해하는 사용자들도 많다.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거나 얼리 어답터 성향이 강한 이들이 아니고서는 사용법을 숙지하는 데 며칠은 걸린다. 앱(애플리케이션의 약어)을 내려받아 사용하는 일은 엄두도 못 낸다.
정보기술(IT) 기기가 익숙지 않은 장년층 가운데는 '디지털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이들도 많다. 옴니아2를 구입했다는 회사원 정모씨(56·서울 방배동)가 그런 경우다. "트렌드가 대세인 시대 아닙니까. 새로운 유행가는 따라부르지 못해도 최신 휴대전화는 살 수 있다 싶어 구입했지요. 그런데 막상 사고 보니 기능이 너무 다양하고 터치폰 사용이 손에 익지 않아서 전화 거는 것도 힘들어요. 눈도 침침하고 조금만 손 대면 화면이 휙휙 바뀌어서, 내 감각이 무뎌지고 늙었다는 것만 확인시켜 주는 것 같아 속상합니다."
인터넷에 사용법과 앱 활용법 등이 올라오지만 IT 용어가 익숙지 않은 이들에겐 해독조차 어렵다. 그래서 최근 통신사와 제조사 등은 스마트폰 사용법 강좌를 마련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애니콜 옴니아 아카데미'를 통해 옴니아 사용법 및 GPS, 트위터 등의 이용법을 사용자들에게 알려주고 있다. KT는 최근 두 차례에 걸쳐 아이폰 사용법 강좌를 열었는데, 회당 30명 모집에 신청자가 2700여명이나 몰렸다. 이달 말에는 일반 스마트폰 이용자를 위한 '쇼 스마트폰 아카데미'를 서울에서 열고 2월부터는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윤민용 기자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스마트폰엔 '그 무엇'이 있다는데..열풍 이유 뭔가
- 통화 가능한 이동컴퓨터 '스마트폰'.. 아, 이렇게 간편할 수가!
- 선고 지연에 도 넘는 ‘탄핵 반대’ 시위대…계란 투척·폭력 ‘연일 난동’
- [속보]‘윤석열 체포 방해’ 경호처 김성훈·이광우 구속영장 기각
- ‘윤 일병 사건’으로 출범한 군인권소위, 10년 만에 드디어 ‘윤 일병 사건’ 살핀다
- 탄핵소추안 발의에 말 아끼는 최상목…거취 고민은 ‘한덕수 선고 뒤’?
- ‘윤 파면 촉구 단식 13일째’ 김경수 찾은 이재명·김동연 “살아서 싸웁시다”
- 독자 활동 제동 걸린 뉴진스, 앞으로 어떻게 하나
- 의대 복귀 데드라인 첫 주자 ‘고려대·경북대·연세대’…복귀 호소 통했을까
- ‘방산 대장주’ 한화 에어로, 최대 규모 기습 유상증자에 주가 13% 급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