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나라빚 더 늘려도 된다"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 우리나라의 적자성 채무(국채)가 정부지출 규모나 금리에 주는 영향 등을 고려할 때 걱정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임진 과장은 1일 `사회후생 극대화를 위한 국가채무 수준에 대한 연구' 보고서에서 정부지출과 소득세 및 국채발행 규모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니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지출(소비지출+투자지출) 비율이 15%일 경우 GDP 대비 국채 비율은 30%가 가장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계산됐다. 정부지출 비율이 25%로 높아지면 적정 국채 비율은 50%로 상승했다.
계산대로라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 정부지출이 GDP의 약 31%였고 국채가 GDP의 13% 수준이었던 점을 고려할 때 상당한 규모의 국채 추가발행이 가능한 셈이다.
추가 국채 발행이 금리에 미치는 영향도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우리나라는 국채 비율이 1%포인트 상승하면 실세금리가 1.02bp(1bp=0.01%포인트)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금리 상승폭(1~6bp)과 비교해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다만,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는 국채 외에도 금융 채무(외환시장 안정용 자금 등)가 GDP의 17%가량을 차지하는 데다 국채 발행이 늘면 해외 투자자들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임 과장은 설명했다.
또 국채 비율이 적정 수준을 넘어서면 비용 부담이 커져 오히려 사회 후생이 감소하는 역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임 과장은 "경기침체와 고령화ㆍ저출산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지출은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이라며 "정부지출 재원을 조달할 때 소득세보다 국채발행을 늘리는 게 더 유리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zheng@yna.co.kr < 실시간 뉴스가 당신의 손안으로..연합뉴스폰 >< 포토 매거진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이승기, 이다인과 4월 결혼…"영원히 제 편에 두고 싶은 사람"
- 생방송중 여진에 TV리포터 혼비백산…신생아 구조 낭보도
- 이준석, 尹에 "전당대회에 끼면 안 되는 분이 등장…당무개입"(종합) | 연합뉴스
- 美 여성, 사망 판정받고 장례식장 갔다가 3시간 만에 '생환' | 연합뉴스
- 공군 일병 아파트서 숨진채 발견…가족에 "부대내 괴롭힘" 호소
- '와그너' 수장 프리고진, 젤렌스키에 "전투기 타고 한판 붙자"
- 안현수, 연금 수령 논란 반박 "잘못 알려진 것…전액 기부했다"
- 폭설 갇힌 韓관광객들 구해준 미국인 부부에 한국여행 '선물'
- BTS 정국 모자 중고로 팔려던 외교부 前직원 약식기소
- 여고생에 마약 투약 후 성매매시킨 20대 항소심서도 징역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