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전쟁포로 학대 피해단체에 사죄

2009. 5. 10. 15:2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쿄=연합뉴스) 이홍기 특파원 = 제2차 세계대전 중 필리핀을 점령한 일본군이 미군 포로 등을 강행군시켜 다수가 사망토록 한 '바탄 죽음의 행진'에 대해 일본 정부가 포로학대 피해자 단체에 사죄를 표명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10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작년 12월 후지사키 이치로(藤崎一郞) 주미대사의 친서 형태로 포로 피해자 단체에 "우리나라가 바탄 반도와 코레히돌섬에서 비참한 경험을 한 사람들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에게 막대한 손해와 고통을 안겨준 것을 마음으로부터 사죄한다"고 밝혔다.

후지사키 대사는 지난 2월에도 다시 친서를 보내 "사죄는 심사숙고한 결과로 일본 정부의 입장을 완전히 반영하고 있다"며 정부의 공식 사죄임을 설명했다.

일본은 과거 포로 학대 문제에 대해 일반적인 형태로는 사죄를 한 바 있으나 '바탄 반도'를 명기해 당사자들에게 직접 사죄를 하기는 처음이다.

일본은 지난 2001년 당시 다나카 마키코(田中眞紀子) 외무상이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50주년 기념식전에서 "전쟁은 전쟁포로를 포함한 수많은 사람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흔을 남겼다. 1995년 무라야마 담화의 통절한 반성에서 나온 사과의 기분을 재확인한다"며 사과를 표한 바 있다.

'바탄 죽음의 행진'은 1942년 4월 포로로 잡은 미군과 필리핀 군인 7만명을 바탄 반도에서 수백km 떨어진 수용소까지 강제로 행군시켜 도중에 7천~1만명이 숨지도록 한 일본군의 포로학대 만행으로, 종전 뒤 그 책임을 물어 당시 필리핀 지역 일본군 사령관인 혼마 마사하루 중장이 군사재판에서 유죄가 확정돼 처형됐었다.

lhk@yna.co.kr < 긴급속보 SMS 신청 >< 포토 매거진 >< M-SPORTS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