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허물 쌍살벌을 아시나요?

2008. 11. 27. 09: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뱀허물 쌍살벌집이 나무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다.

바쁘게 움직이는 이 벌들은 종족 본능의 기치로 뱀허물모양의 벌집을 짓고 사는가 보다. 지난 8월 한여름 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날 국회 의원동산을 산책하다 발견한 잣나무가지사이로 보이는 쌍살벌집은 뱀허물모양으로 길게 늘어져 있어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계절의 변화에 민감한 곤충들, 그들의생존 본능은 이렇듯 자연과 더불어 흘러 가고 있다.

한계절을 마감한 뱀허물쌍살벌의 여름에서 늦가을 까지(8월말부터 11월말) 하루하루 달라진 모습을 담아본다. 역시 자연은 신비롭기만 하다.

@대략적인 연구노트...

벌은 곤충 가운데서 가장 큰 무리로서 세계에 10만 종 이상이 알려져 있는데 몸길이 1mm 이하의 좀벌에서 70mm가 넘는 대모벌까지 있다. 그중 몸길이 15∼22mm의 쌍살벌은 벌목 말벌과의 곤충으로 큰뱀허물쌍살벌, 뱀허물쌍살벌, 두눈박이쌍살벌, 등검정쌍살벌, 꼬마쌍살벌, 어리별쌍살벌, 제주왕바다리, 왕바다리, 별쌍살벌 등 우리나라에 9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쌍살벌의 짯짓기는 지난 해 가을 숫벌과 짝짓기를 할 때 얻었던 정액을 이용하여 알들을 수정시키고 2~3일이 지나면 작은 애벌레들이 알을 깨고 나온다. 어미벌은 과일의 즙이나 꿀, 식물을 먹이로 한다. 처음에 나온 애벌레는 일벌들이어서 쌍살벌의 집안에서의 모든 일들을 하게 된다.

한국,일본,중국,동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는 쌍살벌, 이중 뱀허물쌍살벌은 암컷 15∼22mm, 수컷 10∼13mm로 알, 애벌레, 번데기, 어른벌레를 거치는 갖춘탈바꿈을 한다. 성충은 4∼9월에 흔히 나타나고, 나비목 곤충의 유충을 잡아서 그 먹이로 새끼를 기른다. 말벌 무리와 생김새가 비슷하나 말벌보다 몸이 더 가늘고 첫째 배 마디가 자루처럼 되어 있어 두 종류를 구별한다. /권주훈기자 joo2821@newsis.com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