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길수 교수 "고구려 아닌 '고구리'로 읽어야"

2007. 5. 1. 03: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고구려(高句麗)는 '고구리', 고려(高麗)는 '고리'로 읽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경대 서길수 교수는 3일부터 이틀간 '고구려의 시원과 족원에 관한 제문제'를 주제로 경성대에서 열리는 고구려연구회 춘계학술대회에서 "高句麗를 고구려라고 읽기 시작한 것은 겨우 100년밖에 안 됐다."며 "高句麗의 표기를 원래의 발음인 고구리로 바꿔야 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한다. 서 교수는 30일 미리 배포한 논문'高句麗,句麗,高麗 국호의 소릿값에 관한 연구'에서 이같은 주장의 근거로 세가지를 제시했다.

자치통감 등서 麗를 '리´로 읽어

우선 자치통감, 신당서 등 중국 고대사서에서 '麗'에 주석을 붙여 바로읽기에 대한 주의를 환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치통감에는 고구려, 구려, 고려에 쓰이는 '麗'의 소릿값에 대한 주석이 모두 69개나 등장하고, 신당서에도 7개, 책부원귀에는 1개가 있다.

자치통감 등에는 '麗'의 소릿값과 관련, 려(呂)·력(力)·린()자의 첫자음(ㄹ)과 지(支·知·之)자의 끝 모음(ㅣ)으로 발음해야 한다고 주석이 붙어 있다. 즉 고구려, 구려, 고려에 쓰이는 '麗'자를 '리'로 읽도록 돼 있다는 것이다.

한·중·일 자전 등서 '고구리´ 강조

두번째 근거는 한·중·일 자전과 옥편의 기록이다. 청나라 시대의 '강희자전', 우리나라 옥편의 시조격인 정조때의 '전운옥편', 최남선의 '신자전' 등에 '고려'를 '고리'로 읽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고, 광복 후 한글학회가 편찬한 '큰사전'에는 '고구리'라는 단어가 실려 있다는 것이다. 또 일본과 타이완에서 출판된 자전에도 '麗'자를 '려'와 '리'로 읽을 수 있으나 '리'로 읽는 사례로 '고구려'와 '고려'를 들고 있다고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조선후기 김정호의 대동지지 등에도 '高句麗'를 '고구리'로 읽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여 주를 달고 있는 기록이 있다는 점이다. 신채호, 이병도 등은 '高麗'의 소릿값을 '카우리' 등으로 읽었는데 이때도 '麗'자는 '리'로 읽었다.

서교수 "교과서 먼저 고쳐야"

서 교수는 "중국에서도 高句麗를 현대 중국어식으로 읽지 않고 고대 사서의 기록대로 읽고 있는데, 우리 역사에 나오는 중요한 나라 이름을 잘못 읽고 있는 것은 매우 부끄러운 일"이라면서 "학계의 깊이 있는 토론을 거쳐 교과서를 고치는 것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또한 고구려가 고려로 국호를 변경한 시기가 서기 423년쯤이라는 주장도 제기했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고구려의 국호 변경시기와 관련, 서기 398년(양보융)∼581년(이병도) 등으로 다양한 의견이 나와 논란이 그치지 않았다. 서 교수는 장수왕11년(423년)부터는 공식적으로 高麗를 국호로 썼고, 그 뒤 한번도 高句麗가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423년쯤을 고구려의 국호변경 시기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구려가 국호를 바꾼 이유는 수도를 평양으로 옮긴 것(427년)과 무관치 않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 무예는 기본… 남녀귀천 구분않고 가무 즐겨

고구려 무용총의 수렵벽화 등을 통해 어렴풋하게 알려진 고구려의 이미지는 '무(武)'를 중시하는 사회라는 것이었다.

고구려는 과연 '무예'만 중시한 사회였을까.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김용덕)이 최근 출간한 두권의 책 속에 그 해답이 실려 있다.

고구려 문화사를 다룬 국내 최초의 단행본인 '고구려의 문화와 사상'은 고구려인의 문화·사상적 특성을 심도있게 분석하고 있어 주목된다.

동국대 고고미술사학과 강현숙 교수 등 10명의 연구진이 집필한 이 책은 1990년대 이래 고구려 고분벽화, 산성 등 고구려 유적 및 유물에 대한 접근이 부분적으로 이뤄지면서 촉발된 고구려 문화사 연구의 축적물이다.

연구진들은 고구려인의 문화적 특징을 '기백' '웅장' '낙천' 등 세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우선 무예 못잖게 찬란한 문화를 꽃피운 고구려인들은 생활전반에서 활력과 기백이 넘쳤다고 한다. 걷는 것을 뛰는 것처럼 했기 때문에 반드시 허리띠를 매는 등 활동적인 옷차림을 선호했고, 격투기 연마나 사냥을 즐겼다는 것이다. 높이가 6.39m인 광개토대왕릉의 규모는 같은 시대의 비석 가운데 가장 높다. 왕릉급 적석총과 왕궁인 안학궁의 규모 또한 같은 시대 일본, 중국의 왕릉과 궁궐을 능가한다. 이처럼 고구려의 문화는 웅장하다고 연구진들은 주장하고 있다.

낙천적이라는 점도 특징이다. 남녀, 귀천을 구분하지 않고 노래와 춤을 즐겼고, 장례 때도 북을 치고 춤을 추는 등 낙천적인 인생관을 지녔다고 소개하고 있다.

'고구려의 정치와 사회'에서는 중국과의 교류 속에서도 독자적인 체제를 마련한 고구려의 자주적 면모가 부각돼 있다. 정치의 자주성을 보여주는 사례로는 ▲전통적인 관습법을 시대상황에 맞게 변화시킨 율령의 반포 ▲역사서 '유기(留記)' 100권 편찬 ▲독자적인 연호('영락' 등)의 사용 등이 제시됐다.

박홍환기자 stinger@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