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광개토대왕비문 이렇게 조작했다"

2005. 5. 30. 04:2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전북대 김병기교수 주장‘渡海破(도해파)’ 정상적 빕문과 달라원래글자는 ‘入貢于(입공우)’ 추정김병기(51) 전북대 중어중문학과 교수가 광개토대왕 비문의 조작의혹을서예학적으로 밝히고 원래의 글자를 복원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최근 펴낸 저서 <사라진 비문을 찾아서>(학고재)를 통해, “일본에의해 조작되어 임나일본부의 근거로 인용되고 한반도 침략을 정당화했던광개토대왕 비문을 서예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조작임이 뚜렷하며 원래의 글자도복원하는 것이 가능했다”고 주장했다.

문제의 신묘년 기사는‘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新羅以爲臣民’. 그동안일본쪽이 통설이라고 주장해 ‘백제와 신라는 예부터 (고구려의) 속민이었다.

그래서 줄곧 조공해 왔다. 그런데 일본이 신묘년에 바다를 건너와 백제와 □□와신라를 깨부수어 (일본의) 신민으로 삼았다’로 해석돼 왔다.

이 가운데 ‘渡海破(도해파)’가 조작 의혹을 받는 글자. 김 교수의 분석에따르면 탁본에 찍힌 ‘渡’자의 윗부분 가로 세 획이 아래로 갈수록 오른쪽끝부분이 짧고 오른쪽으로 약간씩 치켜올라가 있으며, 이는 중첩 가로획은 각획이수평을 이루며 각 획의 길이는 가지런하거나 아래쪽 획이 약간 긴 정상적인비문체와 다르다. 또 ‘海’자의 어미 ‘母(모)’ 세로획이 모두 안쪽으로 기울어있는데, 이는 모든 자형이 기본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이며가로획은 수평, 세로획은 수직인 비문서체의 성격과 어긋난다. ‘破’자에서도직선이어야 할 ‘石(석)’의 두 번째 획이 굽어있고, ‘皮(피)’와 ‘石’의윗선이 가지런해야 하는데 ‘皮’가 ‘石’에 아래로 처져 있다.

김 교수는 조작 당시 서체를 모르는 자가 당시 유행하던 예서체 방식을 따라변조하면서 드러난 현상으로 추정한다. 또 조작한 것으로 의심받는 탁본인사코본에서 ‘渡海破’ 글씨가 눈에 띌 만큼 비뚤어져 있는 것도 유력한 조작의증거로 꼽았다. 이는 세로 방향으로 계선을 넣어 세로줄이 정연하게 맞는 비문의장법과 어긋난다. 결국 기존 글꼴을 토대로 글자를 변조하면서 드러난 결과라는것이다.

그럼 원래의 글자는 무엇일까. 김 교수는 ‘渡海破’의 원래 글자가‘入貢于(입공우)’라고 추정한다. 각각의 글자를 겹쳐보면 기존의 획과 모양을이용해 변조한 행태가 뚜렷이 보인다는 것. 그는 서예학적 접근 외에 문장구조를 분석하여 자신의 주장을 입증한다. 그가주목한 것은 ‘屬民(속민)’과 ‘臣民(신민)’. 속민은 ‘현재는 분리되어 있지만동족 관계인 나라’를 지칭하고 신민은 ‘복종의사를 밝혀온 나라 또는 집단’을가리키는 일반용어임을 밝히고, ‘渡海破’를 ‘入貢于’로 대체한 문장이‘而(이)’를 중심축으로 완전한 대칭구조를 갖는 완벽한 문장이 된다고 말한다.

‘百殘新羅-屬民-由來-朝貢 <而> 倭-臣民-以辛卯年來-入貢’. 복원한 신묘년기사는 ‘백제와 신라는 예부터 (고구려의) 속민이었다. 그래서 줄곧 조공을 해왔다. 그런데 왜가 신묘년 이래로 백제와 00와 신라에 대해 조공을 들이기시작했으므로, (고구려는) 왜도 고구려의 신민으로 삼았다.’로 해석한다.

김 교수는 1982년 대만의 한 책방에서 광개토대왕 비문 탁본집인<호태왕각석>이란 책을 발견하여 글자의 모양에 반해 여러 차례 임서하면서‘渡海破’ 부분에서 붓이 멈추는 기현상을 체험했다고 말했다.

임종업 기자 blitz@hani.co.krⓒ 한겨레(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