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역사교과서 왜곡] 러시아 학계선 "발해가 고구려 계승"

2005. 4. 6. 08: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뉴욕 연합|중국의 동북공정이 중국사의 일부분이라고 주장한 뒤 국내외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고구려 역사에 관한 대규모 국제 학술회의가 5일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열렸다.

한국, 중국, 미국, 일본 등 6개국 16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7일까지 계속되는 이번 회의에서는 고구려의 기원과 발전과정, 국제정세, 고구려 고분의 구조와 미술 등 8개 분과로 나눠 주제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첫날 ‘역사와 역사문헌’ 분과에서 ‘고구려의 계승으로서의 발해’라는 주제발표를 한 송기호 서울대 교수는 “발해사의 정체성을 추적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발해인의 자의식”이라며 “문헌자료를 볼 때 발해 지배층은 건국 때부터 멸망 후까지도 지속적으로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했다고 생각해왔다.”고 밝혔다. 송교수는 또 “당시 신라, 당나라, 일본 등 주변국들은 발해가 기본적으로 고구려의 계승국임을 잘 인식하고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송교수는 “전체적으로 볼 때 발해를 주도했던 사람들은 고구려계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일부 나타나는 말갈 요소만 강조해 발해를 말갈계 국가로 규정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역사, 고고학적 관점에서 고구려의 기원’분과에서 ‘한의 현도군과 고구려 국가형성’에 관해 주제발표를 한 하버드대 한국학연구소의 마크 바잉턴 박사는 “한사군 가운데 하나인 현도군과 고구려는 (중국의) 한 왕조가 고구려 지도층의 지배권을 인정해주는 대신 고구려가 공물과 노역을 바친다는 점에서 일종의 조공관계였다.”고 분석했다. 바잉턴 박사는 그러나 “이런 관계는 고구려 사회가 중국의 영향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했으며 고구려 자체의 탄생에 기여했다.”고 지적했다.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코리아소사이어티, 하버드대 옌칭연구소・아시아센터, 라이샤워 일본학연구소, 페어뱅크 동아시아연구센터가 공동후원하는 이번 회의는 서구에서 열린 최초의 고구려사 관련 국제학술회의다.

[저작권자 (c) 서울신문사]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