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도 '克日' 왜색 청산한다
독일어식이나 일본어식으로 사용해오던 화학용어가 국제기준에 맞는 표기법으로 바뀐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주요 원소 이름 109종과 화합물 용어 325종의 새 표기법을 KS규격으로 제정, 다음달 6일 고시해 시행키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새 표기법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발음에 가깝게 정해진 것으로, 요오드(iodine)는 아이오딘, 크롬(chromium)은 크로뮴, 티탄(titanium)은 타이타늄, 게르마늄(germanium)은 저마늄, 브롬(bromine)은 브로민, 크세논(xenon)은 제논, 란탄(lnathanum)은 란타넘 등으로 바뀐다.
화합물 용어도 구성원소 이름이 드러나도록 중크롬산칼륨(K₂Cr₂O●, potassium dichromate)을 다이크로뮴산칼륨으로 표기하며 탄화수소에서 어미 ‘~ane’, ‘~ene’, ‘~yne’은 각각 ‘에인’, ‘엔’ ‘아인’으로 바꾼다. 따라서 프로판(propane)은 프로페인으로 표기하게 된다.
또 ‘cy~’, ‘hy~’, ‘ty~’, ‘xy~’는 각각 ‘사이~’, ‘하이~’, ‘타이~’, ‘자이~’로 변경돼 크실렌(xylene)은 자이렌으로 표기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나트륨(sodium)과 칼륨(potassium)은 갑작스러운 표기 변경에 따른 혼란을 피하기 위해 지금까지 사용한 대로 표기를 허용하되 새 이름 ‘소듐’, ‘포타슘’도 병행해 사용토록 했다. 또 비닐(vinyl)이나 비타민(vitamin)은 당분간 바이닐, 바이타민을 병행 표기한다.
기술표준원 소재부품표준과 김익수 과장은 “교육인적자원부와 학계가 공동으로 마련한 새 표기법에 따라 앞으로 교과서나 각종 서적, 관련 업계 제품 등의 표기법도 점차적으로 통일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경은기자〉
Copyright©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혹평 일색’ 엑스포 PT, 어땠길래…“다양성, 비전, 그리고 ‘부산’ 안 보였다”
- [단독] 올해 15억 이상 아파트 보유세 2020년보다 41% 줄어
- 최형만, 사기로 전재산 잃었다 “과거 하루 수입 5천이었는데…”
- 재건축초과이익 부담금 면제, 8000만원 이하로 상향…‘재초환’ 규제 손본다
- ‘검열 광풍’ 조짐에도 알맹이 빠진 유인촌과의 대화 [홍경한의 예술산책-깊이 보다]
- 마오쩌둥 아들, 한국전쟁서 볶음밥 만들다 사망?...中 SNS 소동
- 日 매독 환자 1만3000명 넘어... 3년 연속 최다치 경신
- 민주당 “김건희 여사 명품백 받았나? 대통령실 입장 밝혀야”
- 부산엑스포 유치 실패는 “사우디 왕권 강화와 금전 투표” 탓?
- “와, 부산이 아이고”···엑스포 유치 실패한 부산 ‘침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