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찾아온 꽃샘 추위로 난방비가 걱정될 수 있다.
난방비를 아끼려 보일러를 껐다 켰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난방비를 증가시키는 행동일 수 있다. 하루종일 보일러를 켜도 난방비는 오히려 줄어드는 요령을 확인해보자.
효율적인 보일러 사용방법
많은 가정에서 출근 전 보일러를 ‘외출 모드’로 전환한다. 하지만 외출 모드는 동파 방지를 위해 최소한의 난방만 제공한다. 이는 외출 기간 동안 실내 온도가 크게 떨어지게 만들고, 귀가 후 낮아진 온도를 회복하기 위해 보일러가 다시 작동되면 에너지 소비가 늘어난다.
하루 종일 외출하는 경우에는 보일러를 끄지 않고 평소보다 약 2~3도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시간 정도의 짧은 외출 시에는 기존 난방 모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외출 모드는 장기간 집을 비울 때에 한해 활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보일러를 잘 살펴보면 '실내 모드'라는 것이 있다. 이런 버튼이 있는 지 모르고 '실내 모드' 그대로 사용하는 가정이 많다. 실내모드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므로, 외풍이 심하게 유입되는 집에서는 보일러의 온도계가 실제 온도보다 낮게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불필요하게 보일러가 장시간 가동되어 에너지가 낭비된다. 이런 상황에서는 바닥 온도를 기준으로 작동하는 ‘온돌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단, 단열 성능이 우수하다면 기존 실내 모드를 사용해도 무리가 없다.
게다가 따뜻한 물을 만드는 데에는 상당한 가스 에너지가 사용된다. 온수 온도를 높게 설정하면 보일러가 자주 작동되어 난방비가 증가한다. 미지근한 물을 틀더라도 보일러는 미리 높은 최고 온도로 물을 데운 후 찬물을 혼합해 중간 온도의 물을 만든다. 그러므로 온수 온도는 보통 40도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이 현명하다. 만약 온수 모드가 ‘저, 중, 고’로 구분된다면 ‘저’나 ‘중’을 선택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지역난방의 경우, 계량 방식에 따라 난방비 산정 방법이 달라진다. 유량계는 난방수의 양만 측정하여 비용을 부과하며, 열량계는 물의 양과 온도 차를 함께 고려한다. 계량 방식을 확인하려면 계량기를 확인하면 된다.
보통 현관이나 베란다에 설치되며, m³ 또는 ton 단위이면 유량계, MWh 또는 Mcal이면 열량계이다. 또한, 주택 난방 방식이 개별난방인지 지역난방인지는 ‘K-Apt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유량계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보일러 타이머 기능을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따뜻한 물을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보일러를 계속 작동시키면 난방수가 지속 공급되어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방의 밸브는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 약간 열어두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