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이틀째 컨테이너 반출입량 반토막

조민희 기자 2022. 11. 25. 14: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가 이틀째인 25일 부산항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피해가 가시화되고 있다.

25일 항만당국 등에 따르면 화물연대는 전날 지역별 총파업 출정식에 이어 전날 밤 전국 14개 지역 131개소에서 3800여 명이 철야 대기했다.

25일 오전 10시 기준 부산항을 비롯한 전국 12개 항만의 컨테이너 장치율은 63.5%로, 평소(64.5%) 수준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5일 오전 10시 전국 12개 항만 장치율 63.5% 평소 수준
전날 오후 5시~이날 10시 컨테이널 반출량 평소 절반 이하
업계 "일주일 이상 길어지면 전체 물류운송 막힐 것"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가 이틀째인 25일 부산항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피해가 가시화되고 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화물연대 파업 이틀째인 25일 부산항만 야드 현장을 방문,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제공


25일 항만당국 등에 따르면 화물연대는 전날 지역별 총파업 출정식에 이어 전날 밤 전국 14개 지역 131개소에서 3800여 명이 철야 대기했다. 야간시간 별다른 운송방해나 진출입 점거 시도 등 불법 행위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25일 오전 10시 기준 부산항을 비롯한 전국 12개 항만의 컨테이너 장치율은 63.5%로, 평소(64.5%) 수준이다. 하지만 전날 오후 5시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컨테이너 반출량은 1만8086TEU로 평소(3만6824TEU)의 49%에 머물렀다.

부산항 역시 이날 오전 10시 기준 장치율은 66.8%로 전날 오전 10시(67.3%)보다 떨어졌으며 평소(68%)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는 전날 오후 5시~이날 오전 10시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1만4813TEU로, 평소(2만5572TEU)의 58% 수준이다. 장치율이 하락한 것은 운송거부로 각종 화물 반입량이 크게 줄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항만당국과 업계는 운송거부를 앞두고 미리 수출입물량을 처리하고 부산신항의 내부 도로를 통해 처리하고 있다. 또 부산신항 인근에 임시 장치장을 확보해 대비하고 있다. 또 이날부터 군위탁 컨테이너 차량 50대를 추가로 지원하고 기업별 자체 운송인력을 투입했다.

하지만 파업이 일주일 이상으로 장기화되면 육로운송이 막히면서 해상운송까지 영향을 미쳐 전체 물류 흐름이 막힐 것으로 우려된다. 부산의 한 포워딩업체 관계자는 “이미 파업 전 급한 물량은 처리해놔 당장은 큰 문제가 없어 파업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하지만 일주일 이상으로 길어지면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