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달 착륙 실패에도 美 협력 '공고'...韓 진전 없어

고재원 기자 2022. 11. 22. 1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과 일본의 달 탐사 희비가 갈렸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발사체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에 실어 발사한 우주선 '오리온'이 달 궤도 근접 비행에 성공한 반면, SLS에 같이 실어 발사했던 일본의 탐사선 '오모테나시'는 달 착륙에 실패했다.

일본 NHK 등은 오모테나시가 지난 16일 SLS 발사 후 통신이 불안정했고 회복을 시도했지만 상태가 돌아오지 않아 끝내 달 착륙을 포기했다고 22일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르테미스 우주선 '오리온' 달 근접 비행
달 궤도 근접비행 중인 오리온. 미국항공우주국(NASA) TV 캡쳐

미국과 일본의 달 탐사 희비가 갈렸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발사체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에 실어 발사한 우주선 ‘오리온’이 달 궤도 근접 비행에 성공한 반면, SLS에 같이 실어 발사했던 일본의 탐사선 ‘오모테나시’는 달 착륙에 실패했다. 

일본 NHK 등은 오모테나시가 지난 16일 SLS 발사 후 통신이 불안정했고 회복을 시도했지만 상태가 돌아오지 않아 끝내 달 착륙을 포기했다고 22일 전했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이날 새벽 달 착륙 포기를 공식 발표했다. 

오모테나시는 일본어로 정성을 다한 대접이란 뜻을 지녔다. 지난 16일 발사 후 통신이 제대로 되지 않아 위치 등이 파악되지 않았다. 태양 전지판은 태양과 반대 방향을 향해 전원을 확보치 못하는 문제도 겪었다. 계획대로라면 21일 달 착륙을 시도해 구 소련과 미국, 중국에 이은 네번째 달 착륙 국가에 도전했으나 실패했다. 

오모테나시. JAXA 제공

반면 SLS에 실려 함께 발사된 오리온은 달 궤도 근접 비행에 성공했다. 현지시각 21일 오전 7시 44분 달 근접 비행에 돌입해 약 13분 뒤 달 뒷면 상공 130km까지 근접했다. 오리온은 이 비행 동안 과거 아폴로 11, 12, 14호가 착륙한 지점을 관측했다. 오리온은 이달 25일 지구에서 40만 171km 떨어진 거리에 도달한다. 아폴로 13호가 1970년 세운 최장거리 비행 기록을 넘는 것이다. 

이번 SLS 발사는 반 세기만에 사람을 달로 보내려는 유인 달 탐사계획 ‘아르테미스’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미국은 아르테미스 계획을 통해 국제협력을 공고히 해 우주 패권 경쟁에서 앞서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미국의 주도 하에 영국, 일본, 이탈리아, 캐나다 등 21개 국이 참여 중이다.

일본은 아르테미스 계획의 핵심 협력 파트너로 꼽힌다. 오모테나시는 물론 이번 SLS 발사에 JAXA의 또 다른 탐사선 에클레우스를 실었다. 에클레우스는 가로 10cm, 세로 20cm, 높이 30cm의 초소형 위성으로 세계 최초로 지구와 달 주변 중력 환경에서의 궤도 제어기술 실험 역할을 맡았다. 기화한 물을 추진제로 이용한 엔진을 품고 있다. 현재 계획대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과 일본은 협력 구도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9일 NASA와 일본 문부과학성은 달 궤도 유인 우주정거장 ‘게이트웨이’ 분야 협력을 확대한다는 협약을 맺었다. 게이트웨이는 지구 저궤도에 더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와 달리 지구와 약 38만km 떨어진 달 궤도에 위치한다. 여기서 달 착륙과 화성 탐사를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일본은 미국과 함께 우주인 활동 실증, 달 탐사 등을 협력할 예정이다. 

한국은 지난해 5월 10번째로 미국과의 아르테미스 협약을 맺었다. 협약을 맺은 지 1년이 넘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협력 내용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최상혁 NASA 랭글리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지난 9월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회우주포럼에서 “협약(Accord)은 구속력이 있는 용어가 아니라 큰 의미가 없다”며 “알아서 모든 것이 펼쳐지고 무엇인가 다 이뤄졌다고 기대들을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협약을 추진할 수 있는 조직을 실체화하고 연구 실무진에서부터 협력 움직임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