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키위·참다래 이름. 왜 한국만?

우리가 키위로 부르는 과일은 또 다른 이름이 있다. 바로 참다래이다. 흥미로운 것은 동일한 과일에 우리나라에서만 이러한 명칭이 붙는다는 것이다. 

키위하면 바로 뉴질랜드가 떠오르지만, 사실 키위의 원산지는 예상외로 중국이다. 중국 양쯔강 유역에서 재배되던 키위가 20세기 초 뉴질랜드에 전달됐고, 상업화된 헤이워드(Hayward) 품종 키위가 본격적으로 육성됐다. 이것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그린키위’다.

키위는 뉴질랜드가 수출시장을 개척하면서 지어진 이름이다. 털이 많은 그린키위의 생김새가 뉴질랜드의 국조인 키위새와 닮았다는 이유로 이렇게 불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린키위는 1982년 국내 농가에 처음 도입됐으며, 1991년 이후 ‘참다래’로 불려졌다. 

농업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의 키위담당 이목희 농업연구사는 “키위와 참다래는 같은 과일을 가지고 국내에서만 다르게 부르는 명칭”이라며 “자유무역협정(FTA)으로 1991년 국내 키위산업이 위기를 맞자, ‘국내에서 생산된 키위’를 외국산과 차별화하고 보호하기 위해 ‘참다래’라고 이름 붙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농촌진흥청

반면 ‘다래’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다래나무속(Actinidia)식물로, 다래, 개다래, 쥐다래 등이 있으며, 키위보다 작고 과피에 털이 없다.

최근에는 키위 명칭을 통일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소비자에게 혼동을 준다는 이유가 크다. 

이목희 농업연구사는 “소비자가 혼란을 겪는 것을 막아야 하며, 수입과 수출이 증가하는 추세에서는 전 세계적 공용어인 ‘키위’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미 한국참다래연합회는 명칭을 정리하려는 강한 의지로, 2018년 ‘키위연합회’로 이름을 변경했으며, 대부분 큰 규모의 법인은 키위를 법인명에 사용하고 학계에서도 최근에는 키위로 사용한다”고 말했다. 현재 원예학 용어집에도 키위로 등재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