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진출 기업들 패닉...대책 마련 분주
"트럼프 협상카드일 가능성…베트남 정부 대미 후속 협상 지켜봐야"
베트남에서 제품을 생산,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 기업들이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의 직격탄을 맞았다.
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을 상대로 세계 최고 수준인 무려 46%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자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어쩔 줄 몰라하는 모습이다.
미국 백악관이 발표한 베트남 상대 관세율은 46%다. 전체 180여개국 가운데 6번째로 높다. 하지만 실제로는 베트남 상대 관세율은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셈이다.
베트남보다 상호관세율이 높은 레소토(50%), 캄보디아(49%), 라오스(48%), 마다가스카르(47%)의 경우 대미 무역 비중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 기업들은 베트남에 적극적으로 투자해 왔다.
지난해까지 한국의 베트남 누적 투자 규모는 약 859억 달러(약 126조원)에 달한다. 최대 외국인 직접투자(FDI) 국가다. 특히 삼성전자는 그 동안 총 232억 달러(약 34조원)를 투자했다. 베트남 최대 FDI 기업이다.
지난해 삼성전자가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 등지로 수출한 스마트폰·가전 등 제품 규모는 544억 달러(약 80조원)에 달해 베트남 전체 수출의 약 14%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미국 정부의 발표가 이뤄지기 전 상호관세에 대해 다소 낙관했던 것이 사실이다.
베트남 정부가 미국산 에너지·농산물 등 구매 약속, 대미 관세 인하 등 대미 흑자를 줄이는 조치를 쏟아내면서 미국과 활발히 소통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하지만 베트남 측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제 베트남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상품에는 46%라는 초유의 관세가 부과되게 됐다.
이에 따라 베트남에서 상품을 생산해 미국 등지로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 사이에는 기존 전략을 대폭 수정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주베트남 한국대사관은 4일 최영삼 대사 주재로 한국 기업들과 긴급회의를 열어 기업들의 우려를 수렴하고 베트남 정부와 소통하는 등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대사관 관계자는 "그간 베트남 정부가 관세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와 우리 기업들도 기대감이 조금 있었지만 기대가 무너지다 보니 충격이 조금 더 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트럼프 대통령과 미 행정부의 협상 스타일을 고려하면 이번 초고율 관세가 협상 카드일 가능성이 커 미국과 베트남 간 후속 협상에 따라 최종 관세율은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지 진출한 한 한국 대기업 관계자도 "발표된 46%의 상호 관세율이 확정되면 베트남의 사업성이 이전보다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조정과 협상을 통해 실제 관세율이 낮아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있어 베트남 정부와 트럼프 행정부의 협상 결과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제시한 관세율이 확정될 경우 베트남의 한국 기업들이 생산 물량을 관세율이 26%로 상대적으로 낮은 인도나 이번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 멕시코 등지로 옮기는 방안을 모색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