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 꺼진 집 늘고 있는 서울…시장 삼중고에 건설업도 ‘비상’
서울 미분양 단지 중 57% ‘악성 미분양’
아파트 분양가가 치솟으면서 미분양 단지가 늘고 있습니다. 다 지어졌음에도 주인을 찾지 못한 준공 후 미분양 단지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국토교통부와 KB부동산 등에 따르면 최근 지난해 10월말 기준 서울 미분양 중에서도 악성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 단지는 523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서울의 전체 미분양(917가구)에서 악성 미분양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셈입니다.
이처럼 서울의 미분양 주택과 악성 미분양 주택은 2020년 이후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 2020년 49건, 2021년 54건이던 서울의 미분양 주택은 2022년 953건으로 큰 폭으로 늘었고, 최근까지도 900건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악성 미분양 주택의 경우 2020년 48건, 2021년 52건에서 2022년 340건으로 급등했다가 2023년 461건, 지난해에는 523건을 기록하며 증가세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불 꺼진 집 늘고 있는 서울…시장 삼중고에 건설업도 ‘비상’
이처럼 준공 후에도 주인을 찾지 못해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만 보더라도 202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는데요.
일각에서는 과거 호황기일 때 고분양가로 공급됐던 물량들이 팔리지 않고 적체돼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서울 전체 미분양 가구에서 쌓인 물량들이 악성화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현 미분양이 준공 후 미분양으로 악성화되고, 악성 미분양은 결국 건설업계의 리스크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데요. 자금난 등 건설업체의 PF 부실 우려가 커지는 대목입니다.
경기 침체 장기화에 대출 규제 여파로 지역 전반에 걸쳐 미분양이 쌓이고 있는 가운데 올해도 상급지 쏠림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분양시장에서도 잘되는 곳은 잘되고, 안 되는 곳들에선 미분양이 확산될 우려가 큰 상황입니다.
부동산 전문가 Y씨는 “공사비 상승에 고금리 기조, 악성 미분양까지 늘다 보니 시장에 삼중고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지역 전반에 미분양이 쌓여있는 데다 올해는 분양 물량까지 대폭 감소할 것으로 보여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