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락한 주식에 물려 못 빠져나오는 이유… 매몰비용의 심리적 오류
친구가 가지고 있는 주식이 엄청나게 떨어졌다. 굉장히 좋은 회사라고 누구나 인정하는 주식인데도 떨어졌다. 손해가 막심하지만 지금은 팔려고 하지 않는다. 그 대신 이게 다시 오르기를, 수익을 바라기보다 매수한 가격대가 돼 손해를 메울 수 있기만을 바라고 있다.
"이 종목 언제쯤 회복될까."
친구가 물었다.
"이 회사 매출이나 이익이 오르고 있어?"
"아니."
"그럼 이 회사가 앞으로 크게 성장할 가능성이 있나."
"그럴 거라고 생각하고 샀는데, 지금 보니 잘 모르겠어."
"경기 순환적이라서 떨어졌다 올라갔다 떨어졌다 올라갔다 하는 주식인가."
"그런 주기가 있지만, 지금은 그런 주기적 변화보다 더 떨어졌어. 지금 폭락은 그런 주기적인 게 아닌 것 같아."
"그럼 왜 이 주식이 앞으로 오를 거라고, 최소한 산 가격대로 회복될 거라고 생각하는 거야?"
"이만큼 내렸으니 오르지 않을까."
오하이오대 학생들 대상 실험
투자한 주식에 대해서는 이 주식이 왜 오를 거라고 생각하는지 근거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암만 들어도 이 주식이 앞으로 오를 거라는 데 대한 합리적 근거가 없었다. "떨어졌으니 오를 수 있다" "올라야 한다" "손해는 메워야 한다"는 의미인데, 이건 주가가 오르는 근거가 아니라 단지 희망이고 바람일 뿐이다. 친구는 그 주식을 투자 개념보다 그냥 지금까지 투자한 금액이 아까워서 그냥 들고 있는 것이다. 투자의 매몰비용 오류다.
투자와 관련해 조심해야 할 심리적 오류 중 하나로 매몰비용 오류가 있다. 매몰비용 오류는 이미 투자한 금액이 아까워 제대로 된 선택을 하지 못하는 오류다. 매몰비용 효과를 제시한 선구적 연구로 헬 아르케스 미국 오하이오대 심리학과 교수의 실험이 있다.
오하이오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학생들은 먼저 미시간으로 스키 여행을 가는 티켓을 100달러에 구입했다. 몇 주가 지나서 이 학생들이 이번에는 위스콘신으로 가는 스키 여행 티켓을 50달러에 샀다. 이후 여행 일자가 확정됐는데, 미시간으로 스키 여행을 가는 날짜와 위스콘신으로 스키 여행을 가는 날짜가 겹쳤다. 두 여행 모두 환불이 되지 않았다. 학생들은 미시간으로 갈지, 위스콘신으로 갈지를 선택해야 했다. 둘 중 학생들이 더 선호하고 더 재미있을 것 같다고 한 여행지는 위스콘신이었다. 그런데 더 비싼 돈을 지불한 곳은 미시간이었다. 둘 중 하나만 가야 할 때 학생들은 어디를 선택했을까.
재미가 덜할 것 같지만 100달러를 지불한 미시간으로 가겠다고 선택한 학생은 54%였다. 반면 50달러를 지불했지만 더 재미있을 것으로 보이는 위스콘신으로 가겠다고 한 학생은 46%였다.
스키 여행비는 이미 지불했고, 어떤 선택을 하든 이 지출은 변경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자신이 가장 재미있게 놀 수 있을 것 같은 곳을 선택하는 게 합리적이다. 하지만 반수가 넘는 학생이 '더 재미있을 곳'보다 '더 많은 돈을 지불한 곳'을 선택했다. 미시간에 가지 않으면 100달러를 포기하는 것 같고, 위스콘신에 가지 않으면 50달러를 포기하는 것 같기 때문이다. 100달러를 포기하기 건 아깝다는 생각에 재미가 덜한 미시간을 선택한 것이다.
행동에 매몰비용 규모도 영향 미쳐
또 연극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할인권 효과를 살펴본 실험도 있다. 오하이오 극장에는 1년간 상연하는 모든 연극을 볼 수 있는 시즌권이 있다. 시즌권을 사려는 이들을 무작위로 구분해 어떤 사람들에게는 시즌권을 정가로 팔았고 어떤 사람들에게는 13% 할인 프로모션, 또 다른 사람들에게는 47% 할인 프로모션을 적용했다. 정가로 산 사람, 13% 할인해서 산 사람, 47% 할인해서 산 사람은 1년 동안 연극 관람 횟수에 차이가 있었을까.
처음 반년 동안 정가로 표를 산 사람은 평균 4.11회 극장을 찾았다. 13% 할인 표를 산 사람은 3.32번, 47% 할인 표를 산 사람은 3.29번 연극을 관람했다. 이들은 시즌권을 구입할 만큼 원래부터 연극 애호가였다. 그런데 구입 가격에 따라 방문 횟수가 달랐다. 비싸게 구입한 사람이 더 많이 방문한 것이다.
시즌권을 산 것이니 극장을 몇 번 방문하든 추가 비용은 없었다. 그런데 똑같은 애호가라도 비싼 값을 주고 시즌권을 산 사람이 극장을 더 많이 찾았다. 비싼 가격에 티켓을 구매했을 때 자기가 이미 지불한 돈을 아까워하는 심리가 더 강했고, 그 마음이 행동으로 나타난 것이다. 매몰비용 크기가 사람들 행동에 실제로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
세 번째 실험. 항공회사가 신기술을 활용해 비행기를 개발하려 한다. 1000만 달러(약 134억4000만 원)를 연구비로 책정해 개발 중이고, 이미 900만 달러를 지출했다. 100만 달러만 더 지출하면 프로젝트가 완성된다. 그런데 경쟁사가 바로 그 신기술을 활용해 비행기를 완성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심지어 자사가 개발하는 비행기보다 성능이 더 좋았다. 이때 이 프로젝트를 계속 추진해 완성해야 할까, 아니면 프로젝트를 포기해야 할까.
프로젝트를 완성해봤자 이제 이익을 내는 건 불가능하다. 그런데 응답자의 85%는 100만 달러를 더 투자해 프로젝트를 완성하겠다고 응답했다. 포기하겠다고 한 사람은 응답자의 15%에 불과했다.
질문을 좀 바꿔서 경쟁사가 새로운 비행기를 제작했는데, 우리 회사도 100만 달러를 새로 투자하면 그런 비행기를 만들 수 있다고 한 직원이 제안한다. 하지만 성능은 경쟁사의 비행기가 더 좋을 것이다. 이 직원의 제안을 받아들여서 새로 100만 달러를 투자하겠느냐고 물어봤다. 앞선 경우와 차이는 앞에서는 이미 900만 달러를 지출했지만, 여기에서는 지출한 돈이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응답자의 83%는 이 프로젝트에 100만 달러를 투자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똑같은 의사결정이고 효과도 같은데, 900만 달러를 이미 투자한 경우에는 85%가 100만 달러를 더 투자하겠다 했고, 기존에 투자한 돈이 없을 때는 83%가 투자하지 않겠다고 한 것이다. 이미 투자한 금액, 매몰비용에 따라 사람들의 의사결정이 달라진 셈이다.
재미있는 점은 두 경우의 성공 확률 추정치다. 경쟁사가 더 좋은 비행기를 이미 완성했다. 이때 우리 회사가 새로운 비행기를 완성한다고 해서 잘 판매될 수 있을까. 900만 달러를 이미 투자한 경우 사람들이 생각하는 성공 확률은 평균 41%였다. 그런데 기존에 투자한 금액이 없을 때는 사람들이 프로젝트 성공 확률을 34%로 봤다. 투자한 금액이 있을 때는 프로젝트 성공 확률이 높다고 생각한 것이다. 즉 투자한 금액이 없을 때는 성공 확률이 낮다고 판단한 반면, 많은 금액을 투자한 이후에는 성공 확률이 높다고 봤다.
이렇듯 매몰비용 오류에 빠지면 자기 돈이 이미 투자된 경우 그 돈의 영향을 받아 제대로 된 판단을 하지 못한다. 투자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합리적 판단이 가능하지만, 일단 돈이 들어가면 그 돈이 아까워서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것이다.
"새로 투자한다면 지금 종목 또 살 것인가?"
매몰비용 오류에 빠지지 않기 위해 사용하는 질문이 있다. 세계적 경영학자였던 피터 드러커가 제시한 질문이다. "지금 새로 사업을 한다면 지금 하고 있는 사업을 하겠는가." 투자에 적용하면 "지금 새로 투자를 한다면 지금 투자한 종목에 투자하겠는가." 대답이 "Yes"면 현 사업이나 투자를 계속해도 된다. 하지만 대답이 "No"라면 현 사업이나 투자에서 빠져나와야 한다. 지금 그만두면 큰 손해를 보겠지만 그래도 빠져나와야 한다. 그래야 지금 당장은 손해를 보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성공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앞에서 언급한 친구는 어떻게 하는 게 최선일까. 지금 돈이 있어서 주식을 새로 산다면 현재 가진 주식을 살 것인가. 매수 단가를 낮추는 물타기를 위해 사는 게 아니라, 정말 그 주식에 장래성이 있다고 판단해 그것을 살 것인가. 그 대답이 "Yes"면 계속 가지고 있어도 된다. 반면 그 주식을 사지 않겠다고 생각한다면 손해를 받아들이고 빠져나오는 게 답이다. 그게 매몰비용 오류에 빠지지 않는 방법이다.
최성락 박사는…
서울대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 서울과학종합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동양미래대에서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21년 투자로 50억 원 자산을 만든 뒤 퇴직해 파이어족으로 지내고 있다.
최성락 경영학 박사
Copyright © 주간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