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 모호하고 처벌 과도”… 위헌 심판대 오르는 ‘중대재해법’ [심층기획]
두성산업 근로자 “유해물로 독성간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첫 기소
변론 맡은 화우 “안전 규정 불명확
형사책임 과잉금지 원칙 위배” 주장
1∼9월 사망사고 483건… 기소는 4건
실효성 의문… 검찰서도 ‘위헌’ 목소리
“재해의미 너무 광범위… 본질 의미 퇴색
보완작업 함께 산업안전법 재정비해야”
◆중대재해처벌법 첫 위헌법률심판 제청 과정은… “헌재 판단 불가피”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첫 기소된 두성산업을 변호하는 법무법인 화우는 지난달 13일 창원지방법원에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신청한다고 밝혔다. 중대재해처벌법과 관련해 처음 제기된 위헌법률심판 제청이다.
중대재해처벌법 4조 1항 1호는 사업주나 경영 책임자, 법인, 기관이 근로자의 안전·보건상 유해 또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재해 예방에 필요한 인력·예산 등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조치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6조 2항은 같은 법 4조 등을 위반했을 경우 사업주나 경영책임자 등이 7년 이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 벌금형을 받도록 하고 있다.
법원이 두성산업의 신청을 받아들여 헌법재판소에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하면 결정이 날 때까지 관련 재판은 중단된다. 법원이 신청을 기각할 경우엔 당사자 측이 헌재에 직접 헌법소원을 제기할 수 있다. 두성산업 측은 신청 기각 시 헌법소원에 나설 계획이라서 중대재해처벌법은 결국 헌재의 판단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위헌성 가를 쟁점은 ‘명확성·과잉금지원칙 위배’ 여부
두성산업 측은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낸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조항이 헌법상의 명확성원칙과 과잉금지원칙, 평등원칙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먼저 4조 1항에서 규정하는 ‘실질적으로 지배 운영 관리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 ‘재해예방에 필요한 인력 및 예산 등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그 이행에 관한 조치’ 등과 관련해 내용이 모호하고 불명확하기 때문에 자의적인 법 해석이나 법 집행이 이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피고인에게 불리한 유추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죄형법정주의(범죄와 형벌은 미리 법률로 규정해야 한다)의 명확성의 원칙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화우 소속인 안창호 전 헌법재판관은 “중대재해처벌법은 법 조항이 모호하고 추상적으로 돼 있어 어떤 사안을 위반했는지 정확히 알지도 못하는데 과한 처벌을 받게 돼 있다”며 “중대재해처벌법의 위헌성이 확인돼 관련 규정이 보다 예측 가능하고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한 명확한 내용으로 보완됨으로써 중대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법제로 개선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법 시행 후 기소 건수 ‘4’… 검찰서도 “위헌” 목소리
고용노동부의 ‘2022년 3분기 누적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에 따르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후인 올해 1월부터 9월 말까지 발생한 사망사고는 483건으로 모두 510명이 산재로 숨졌다. 이 중 고용부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를 확인해 입건한 사건은 58건,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한 사건은 23건이다. 검찰은 이 가운데 4건을 기소했다. 법의 실효성 논란이 제기된 배경이다.
검찰에서조차 “중대재해처벌법은 위헌”이라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노정환 울산지검장은 지난 9월 울산지검에서 열린 중대재해·산업안전 세미나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은 경영책임자 등에게 ‘안전·보건 관계 법령’에 따른 관리 조치 의무를 부과하는데, 구체적인 내용이 담겨야 할 시행령에서조차 이 법령이 무엇인지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중대재해처벌법이 위임하는 법규명령의 범위와 규정될 내용 등에 제한을 두지 않아 위헌성 시비를 피할 수 없다”며 “경영책임자는 자신에게 부과된 작위의무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지 못해 어떤 행위를 해야 할지 결정하지 못하지만, 유례없이 엄격한 형사처벌을 받는다”고 지적했다.
서울고검 송지용 검사도 최근 대검찰청이 발행하는 ‘형사법의 신동향’에 발표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위헌성 검토’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의 입법 취지를 살리기 위해 중대재해의 의미를 기존 산업안전보건법과 유사하게 규정해 너무 광범위하게 인정한 나머지 ‘중대재해’라는 본질적 의미가 퇴색되어 버렸고, 기존 법체계와 맞지 않는 형벌체계가 도입되는 결과가 되었다고 판단된다”며 “기존 업무상과실치사상죄 및 산업안전보건법상 치사죄에 비해 매우 혹독하게 가중된 형사처벌 규정이 중대재해처벌법에 신설됨에 따라 법체계의 혼란 및 위헌 논란을 불러오게 되었다”고 꼬집었다.
서울의 한 로스쿨 교수는 “중대재해처벌법의 위헌성 논란은 법이 만들어질 때부터 예견됐다”며 “시행령 개정을 통해 위헌성을 보완하려는 움직임도 있지만 이보다는 근본적으로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등 산업현장의 안전 관련 법률 전반을 총체적으로 보고 법체계 전반을 다시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 mypar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윗집男 칼부림에 1살 지능된 아내”…현장 떠난 경찰은 “내가 찔렸어야 했나” [사건 속으로]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이 나이에 부끄럽지만” 중년 배우, 언론에 편지…내용 보니 ‘뭉클’
- “39만원으로 결혼해요”…건배는 콜라·식사는 햄버거?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식대 8만원이래서 축의금 10만원 냈는데 뭐가 잘못됐나요?” [일상톡톡 플러스]
- “북한과 전쟁 나면 참전하겠습니까?”…국민 대답은? [수민이가 궁금해요]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