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채권 사기 발행 규명" 주력...금감원, 증권사·신평사 거쳐 MBK도 곧 검사

조회 1492025. 3. 16.

홈플러스 채권, 개인·일반법인 피해 '눈덩이'…2월에만 단기채 1800억 찍어
개인에 팔린 홈플러스 채권 2천억대…"1조원대 리츠에도 상당수 투자"

금융당국이 6000억원에 달하는 홈플러스의 채권이 불완전 판매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과 함께 강도 높은 조사를 예고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특히 홈플러스 채권 판매잔액 6000억원중 대다수가 개인·일반법인에 떠넘겨져 이들의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홈플러스 매장을 기초자산으로 한 1조원대 리츠(부동산투자회사)·부동산 펀드 등에도 개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상당 규모 묶여있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피해 규모가 급격히 커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의 조사 결과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홈플러스 경영진과 MBK파트너스는 법적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할 전망이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업권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조사·분석한 결과 지난 3일 기준 홈플러스 기업어음(CP)·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단기사채 등 단기채권 판매잔액은 총 5949억원으로 집계됐다.

홈플러스 소매판매 규모가 구체적으로 파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중 증권사 일선 지점 등을 통해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단기채권은 2075억원(676건)이다. 일반법인 판매분까지 합친 리테일(소매) 판매 규모는 5400억원 수준이다. 홈플러스 채권 판매잔액 6000억원 중 대다수를 개인·일반법인이 가지고 있는 셈이다.

일반법인에 판매된 규모는 3327억(192건)이다. 기술·전자·해운업 등을 영위하는 중소기업들이 주로 홈플러스 단기채권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 대부분이 대형 기관투자자가 아닌 개인 및 일반법인에 판매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불완전 판매 의혹 등이 본격 제기될 전망이다. 이미 불완전 판매에 대한 민원이 금감원 등에 접수되고 있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미리 준비하면서 채권을 발행해 개인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떠넘겼다면, 동양·LIG 사태처럼 대형 형사 사건으로 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을 신청한 지난달에만 총 11차례에 걸쳐 1807억원의 단기채권을 발행했다. 종류별로는 ABSTB 발행이 1517억원(4회)으로 가장 많았고, 단기사채 160억원(4회), CP 130억원(3회) 등 순이다.

홈플러스는 지난달 25일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한 이후에도 820억원 규모의 ABSTB를 발행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홈플러스 매장을 자산으로 편입한 리츠나 부동산 펀드에서도 대규모 개인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홈플러스는 우량 점포를 팔아 현금화하고, 이를 다시 빌려 영업하는 '매각 후 재임차(세일 앤드 리스백)' 전략을 써왔다.

리츠가 홈플러스로부터 임대료를 받아 투자자들에게 배당해왔는데, 홈플러스가 임대료를 미지급하기 시작하면 투자자들 손실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추산하는 홈플러스 점포를 기초 자산으로 한 리츠와 펀드 규모는 1조원대 수준이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홈플러스 입점 시 개발자금을 댄 리츠 등에도 개인투자자가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하락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고서도 단기 채권을 발행해왔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관사와 신평사 검사를 통해 홈플러스와 어떤 논의가 언제 있었는지를 파악하고 관련성이 포착되면 MBK 검사는 당연한 수순"이라고 말했다.

이미 지난 13일 홈플러스 유동화증권 발행 주관사인 신영증권과 신용평가사들을 상대로 검사에 착수했다. 금감원은 이번 주까지 증권사와 신평사 검사를 진행하고, 필요하면 연장 검사 등을 통해 사실관계를 분석할 계획이다.

홈플러스 채권 투자자들의 민원도 시작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감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홈플러스가 회생신청을 한 당일인 4일부터 이달 12일까지 금감원에 총 22건의 홈플러스 채권 관련 민원이 접수됐다.

유동화증권 판매량이 가장 많은 하나증권에 불완전 판매 관련 3건의 민원이 들어왔고, 나머지 19건은 현대카드·롯데카드·신한카드 등 카드사에 집중됐다.

카드사는 개인에게 유동화증권을 직접 판매하지는 않았지만, 투자자들은 카드사의 신용 등을 믿고 카드대금을 기초로 하는 ABSTB에 투자했다는 입장이다.

ABSTB가 변제 우선순위가 높은 상거래채권이 아닌 금융채권으로 결론난다면 증권사를 상대로 한 불완전판매 민원은 더 본격화될 수 있다.

다만, 금감원은 당장 증권사의 불완전 판매 여부를 들여다보기보다는 사기 발행 규명에 주력한다는 입장이다. 투자자 책임이 일부 인정되는 불완전 판매와 달리 사기 발행이 인정되면 투자자가 전액을 상환받을 수 있다.

신용등급 하향 후 자금조달 경색 우려로 단 5일 만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최소 2월에는 회생 절차 신청을 준비했으며, 이 과정에서 투자자 피해는 무시한 채 단기물을 2000억원 가까이 발행한 것은 사기로밖에 볼 수 없다"
- 강민국 국회의원 -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