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기획 : 인재가 지역을 바꾼다] 대구경북 '경단녀' 13만명…여성취업 10년째 제자리

대구경북 여성 취업자 수가 10년째 '제자리 걸음' 수준이다.

국내 경제가 꾸준히 성장해 왔고 성 평등 문화의 확산, 서비스·지식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고학력 여성 인재가 꾸준히 배출되는 점을 감안하면 미미하다. 다양한 구조적 맹점에다 경력단절 여성(경단녀) 문제가 대구경북 여성의 고용 성장세를 가로막는 벽으로 작용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경단녀 문제는 결혼과 출산, 육아를 기피하는 사회 풍조와 연결돼 있어 심각성이 더욱 크다. 생존의 위기를 넘어 '소멸'을 우려하는 지역 입장에선 경단녀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저출산·고령화 위기에 놓인 대한민국의 숙제이기도 하다.

13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와 경북 여성 취업자 수는 54만9천명, 62만3천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2014년(52만4천명·60만5천명)에 비해 4.7%, 2.9%씩 늘어난 규모다. '강산도 변한다'는 10년이란 세월 동안 지역 여성 취업자 수가 5%도 채 성장하지 못한 셈이다.

지역 여성 취업자 수가 좀처럼 성장하지 못하는 데는 다양한 원인이 존재한다. 여성 인구의 감소, 제조업과 농어업 중심의 산업 구조, 생산 인구의 타 지역 전출 등이다. 경단녀의 사회 진출 실패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구와 경북의 경단녀 수는 꾸준히 줄어들고 있지만 기혼여성의 인구가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체감도가 낮다. 지난해 대구와 경북의 경단녀는 13만명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고물가·고환율·고유가 상황에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재취업의 문'은 더 좁아지고 있다. 나이와 경력 단절로 인한 실무 경험 부족 등으로 채용 우선 순위에서 배제되는 게 현실이다.

전문가들은 경단녀들이 사회 구성원이자 경제활동 주체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정부도 경단녀를 한국 경제의 생산성을 끌어올릴 잠재적 일손으로 판단하고 정책 마련에 적극적이다.

박정희 대구 달서여성새로일하기센터 팀장은 "정부 기금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지만, 경단녀를 위한 사회적, 제도적 방패막이 더 필요하다"며 "경단녀 문제는 결혼과 출산, 육아, 노후생활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어 지역 소멸 문제에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대구 #경북

Copyright © 영남일보 since 1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