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액체에 뇌가 녹았다…'괴기한 죽음'이 바꾼 의사의 삶
36년간 노동자 의료 지원하고 실태 조사하며, 법·제도 바꿔 와
"힘든 사람 도와주는 게 공동체 복원, 지역 주민들과 건강과 돌봄 공동체 만들고 싶어"
의대생이 처음 마주하는 광경이었다. 수업 때 설명을 들어본 적도 없었다. 맨 처음엔 굉장히 무서웠단다. 환자들 상태가 너무 좋지 않았다.
"아주 이상한 표정으로 괴기한 소리를 질렀어요. 뇌가 많이 망가져 있었고요. 좀 겁난단 생각을 했었지요."
임상혁 녹색병원 원장이 36년 전을 회상했다. 때는 1988년. 당시 한양대 의과대학에 다니던 그를 두렵게 한 환자들. 구리시 원진레이온이란 큰 공장에서 일하던 노동자들이었다.
그들은 옷을 만드는 섬유인 '레이온 실'을 만들었다. 이를 위해 이황화탄소란 유기용제로 원료를 녹여야 했다. 색도 냄새도 없었던 위험한 액체.
커다란 공장 공기에 이황화탄소가 섞였다. 노동자의 들숨에 파고들었다. 폐와 혈관을 타고 온몸으로 퍼졌다. 몸속에서 뇌와 신경세포를 녹였다. 노동자는 말이 어눌해지고 손발이 멎었다. 주저앉아 일어서지 못하게 됐다. 지금까지 3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나왔다. 300명이 넘는.
의대생이었던 임상혁은 조사하고 목격했다. 이들의 가정이 한순간에 깨지고 나아가 숨지는 것을. 직업병을 인정받으려 싸우는 것을. 대책 없이 닫힌 공장문을 보며 또 싸우는 것을. 곁에서 플래카드를 만들며 연대했다. 이어 맘먹었다.
"어렵고 힘든 분들을 보면서 '내가 의사로서 이걸 좀 해야 되겠구나'. 그게 가장 큰 동기였던 것 같아요. 그리고나서 한 번도 그 길을 벗어나지 않았지요."
임상혁 녹색병원 원장을 만나려 병원 1층에 들어섰다. 원장실로 가기 위해 위쪽이 아니라 지하 2층에 내려갈 때, 반면 노동자들이 재활하는 공간은 가장 높은 7층에 있단 걸 알았을 때. 복도에 원진레이온 노동자들에 대한 기록과 사진이 빼곡히 있는 걸 봤을 때. 녹색병원의 단단한 꿈 같은 게, 강한 철골처럼 여길 지탱하는 내력을 형성하고 있단 걸 알았다.
'잘 보려면 마음으로 보아야 해. 가장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아.' 좋아하는 소설 '어린 왕자' 속 문장이 큰 액자에 담긴 걸 볼 무렵, 원장실에 도착했다.
계기가 뭐였을까. 임상혁 원장이 떠올린 장면이 이랬다.
"할머니께서 폐지 수집하시다가 턱에 걸려 쓰러지신 걸 봤어요. 뒤에서는 차가 비키라고 빵빵거렸지요. 저 분들에게 뭘 하자, 이런 생각을 했어요. 치료도 하고 검사도 해드리고요."
노동환경건강연구소에선 폐지 수집 노동자 여럿을 따라다니며 상세히 취재했다. 그들이 꺼내놓은 말들이 이랬다.
'리어카 자체 무게가 50킬로가 넘는다. 허리 힘으로 끌어야 한다. 박스 안의 쓰레기를 빼내서 따로 치우고, 줍는 모든 과정에서도 허릴 굽혀야 한다. 허리가 가장 아프다. 박스를 만지는 손목도 너무 아프다.'(75세 여성 A씨)
'한 남자가 리어카로 재활용품을 수거하고 있었다. 코 앞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걸 봤다. 그 이후론 조심하지만, 겨울철엔 자주 미끄러져 넘어진다. 다리가 가장 많이 아프다. (그렇게 해서 모으는 돈은) 하루 3000원이다.'(100세 여성 B씨)
"병원에 오신 폐지 수집 노동자분들은 총 20명 정도밖에 안 돼요. 건강하실 수도 있고, 다른 병원에 다니실 수도 있겠지요. 근데 제일 많은 건 아마 생계 때문에 못 오시는 게 제일 많지 않을까 싶어요. 무료로, 비용을 전혀 안 들게 우리가 해준다고 해도요."(임상혁 원장)
"병원비를 해결해준다는데 생계 때문에요? 왜요?"(기자)
"돈을 벌어야 해서요. 폐지 수집 어르신뿐 아니라 힘든 노동자들. 먹고 사는 문제 때문에 그런 거예요. 자기가 만약에 일을 하지 않으면 일자리가 없어지기도 하니까요."(임상혁 원장)
다치면 치료한단 '상식'이 어디나 통하는 게 아녔다. 하청업체, 일용직 노동자, 가장자리의 노동. 아프면 잘릴까 봐, 치료하면 일자리가 없어질까 봐, 그래서 병을 꼬박꼬박 숨긴단다. 그러다 병이 커져 결국엔 더 아파서 일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임 원장은 너무 많이 봤다고 했다.
'국솥 규모나 볶음 전용 솥 크기는 가히 욕조급이다. 좁은 공간에서 뛰듯이 움직이다보면 여기저기 부딪치는 건 다반사다. 집에 돌아가 샤워한 뒤 거울에 비친 몸을 보면 멍투성이란다. 데이고 베이고, 손과 팔뚝은 노동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이럴 때는 좀 슬프지만 그래도 아이들에게 좋은 밥, 맛있는 반찬 만들어주는 게 그냥 막 기쁘다고 한다.'(학교 급식실 노동자)
'민원전화 받고 있으면 유리방(사무실)에서 쪽지가 오는데 그거 때문에 스트레스를 엄청 받죠. 민원 처리 빨리하라는 거예요. 그래서 하루에 이석 시간이 5~10분 정도 밖에 안 돼요. 화장실만 잠깐 갔다 오고 하루 종일 물도 안 먹고 그렇게 일을 했어요.'(정부기관 콜센터 노동자)
다치면 치료받아야 하는데. 치료받고 일터로 다시 돌아가 일하는 비율이 45%밖에 안 된단다. 제일 큰 애로사항이 이렇다고 했다.
"치료가 어려운 게 아니라, 이분이 치료받는 동안 생계가 어려운 거예요. 치료할 수가 없어요. 그래서 우리나라에만 없는 '상병수당(병가를 내면 일정부분 급여를 주는 것)' 도입이 시급한 거예요."
그러면서 상병수당으로 노동자들을 치료한 사례를 들려줬다. 예전에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에서 전태일재단에 기부하면서, 그중 일부인 4500만원을 녹색병원이 쓰도록 낸 적이 있었다. 온누리 상품권이었다.
임 원장을 쓰임처를 고민하다 상병수당을 주는 걸로 실험해봤다. 적으면 50만원, 많으면 100만원 정도였다. 그런데 한두 달 만에 다친 사람들이 다 와서 재활 치료를 받았다. 그 정도만 받아도 노동자들이 치료한단 걸 알게 됐다. 그중 천안에서 치료를 잘 받은 노동자가 쓴 손 편지 내용이 이랬다.
'동아줄 잡는 심정으로, 약간은 두려움으로 서울에 왔습니다. 한 분 한 분 치료해주시고 보살펴주시는 손길들이 마치 엄마처럼 따뜻하고 포근했습니다. 제가 언제 이렇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을까요. 녹색병원 최고입니다.'
"우리가 단순하게 아픈 사람 병만을 치료하는 게 아니에요. 아픈 사회를 치료하고, 아픈 사회와 함께하자, 이런 거거든요. 아무도 손대지 않고 아무도 알아주지 않으니 아픈 사회일 수 있잖아요. 노인들이 새벽에 나가 교통사고를 당해 쓰러져요. 근데 그걸 국민들이 힘을 합쳐 그런 걸 바꿔보면, 정말 아픈 사회를 치유하는 모습이 되겠지요."
그럼 사회는 왜 아픈가를 물으니, 의사는 '양극화'를 원인으로 꼽았다. 경쟁이 심하고 공정하지 못한 사회. 그런 게 사람들이 서로 연대하는 걸 막아내는 거라고.
처방전은 '공동체 회복'이라고 했다. 힘든 사람을 도와주는 게 공동체가 복원되는 거라고. 녹색병원은 그런 공동체를 지향하고 있다고 했다. 예컨대, 이런 걸 꿈꾼다고 했다.
"방문 의료센터도 만들고 싶어요. 우리가 방문 진료를 가면 하루 종일 집에만 계시는 분이 있어요. 그분이 왜 못 움직이냐면 휠체어가 턱을 못 넘는 거예요. 반지하 계단, 못 올라오죠. 그거만 없애주면 마을로 나갈 수 있거든요. 그런데 이웃이 집을 고쳐주고, 휠체어를 밀며 함께 산책하고. 지역 주민들과 건강과 돌봄의 공동체를 만드는 것. 그런 걸 해보면 좋겠어요."
그 이야기를 할 때, 마치 처음 꿈을 말하는 청년처럼 얼굴이 빛났다. 이 일을 36년이나 해온 이의 표정이 그랬다. 어찌 보면 의사로서 돈을 더 잘 벌 수 있다거나, 그런 걸 뒤로하고 이리 몰입하게 하는 힘이 뭘까. 끝으로 궁금한 걸 물었다.
"진짜로 내가 왜 그럴까, 내가 사람들이랑 술 먹고 얘기하고 이런 걸 좋아하니까 그럴 수도요(웃음). 이리 사회와 사람들을 좋아하고, 이런 걸 같이 아파하고, 그런 선한 마음이 있었던 게 아닐까요. 누군가 해야 할 일이고 필요한 일이잖아요. 그러니 떠나기가 어렵고, 계속해 나가는 게 아닐까 싶어요."
에필로그(epilogue).
녹색병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에서 쓴 책 '고통에 이름을 붙이는 사람들'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문장. 노동자들의 마음을 읽어냈던 해치 교수의 질문이라고 했다.
'저 노동자는 저 작업장에서 평생토록 일해도 좋겠는가?'
'나는 저 작업장에서 평생토록 일해도 좋겠는가?'
'내 아들 딸이 저 작업장에서 평생토록 일해도 좋겠는가?'
이어 덧붙인 문장이 이랬다.
'모든 질문에 '예'라고 답할 수 있을 때 노동은 존중되고 일터는 안전할 수 있을 것이다.'
남형도 기자 huma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박지윤도 떳떳 "상간남? 부정행위 없었다"…'쌍방 불륜' 진실은 - 머니투데이
- [영상]제니 머리 만지며 "금발, 네 머리냐"…인종차별 논란에 팬들 '분노' - 머니투데이
- "우리 아빠와 바람난 신부"…불륜녀 결혼식장서 펼쳐진 복수극 - 머니투데이
- "김원효, 故김형은 부친 어부바"…♥심진화와 구순잔치 '훈훈' - 머니투데이
- 오정태, 반지하 탈출 후 매입한 14억 아파트…6년만 두배 올랐다 - 머니투데이
- 묵묵히 쓰레기 줍던 그 사람…앤디 김, 한국계 첫 美 상원의원 됐다 - 머니투데이
- "저거 마약 한 거 아니야?" 과거 루머에…블핑 로제, 심경 밝혔다 - 머니투데이
- 율희 "양육비, 재산분할 0원"…최민환에 뒤늦은 양육권 소송, 왜? - 머니투데이
- 지드래곤, 멤버 3명 남은 빅뱅에…"더 이상 줄지 말자" 신신당부
- "백종원 보고 투자했는데 성공"…더본코리아 77% 급등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