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가계대출 증가 반토막…근데 금리는 왜 자꾸 오르나요?

김남이 기자 2024. 9. 27. 16: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지난달 대비 반토막이 났지만 여전히 대출 금리는 오르고 있다.

이달 가계대출은 지난 7월부터 이어진 금리 인상과 함께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2단계' 시행, 은행별 각종 가계대출 제한, 추석 연휴로 인한 영업일 감소 등으로 지난달 대비 증가 규모가 크게 줄었다.

지난달 5대 은행 가계대출 증가 규모(9조6259억원)와 비교하면 반토막이 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대은행, 가계대출 증가 규모/그래픽=이지혜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지난달 대비 반토막이 났지만 여전히 대출 금리는 오르고 있다.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연간 목표를 맞추기 위해서는 대출 잔액을 줄여야 하는 곳도 있어서다. 미국의 금리 인하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도 당분간 대출금리 하락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29조5457억원으로 지난달 말과 비교해 4조1815억원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이 4조5467억원 늘면서 가계대출 증가를 이끌었다.

이달 가계대출은 지난 7월부터 이어진 금리 인상과 함께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2단계' 시행, 은행별 각종 가계대출 제한, 추석 연휴로 인한 영업일 감소 등으로 지난달 대비 증가 규모가 크게 줄었다. 지난달 5대 은행 가계대출 증가 규모(9조6259억원)와 비교하면 반토막이 났다.

영업일수를 감안한 하루 평균 가계대출 증가액 역시 2613억원으로 지난 8월(4584억원)의 57% 수준이다. 특히 일부 은행은 가계대출 잔액이 전월 수준으로 유지했다. 상환금액만큼만 새로 대출을 내줬다는 의미다.

하지만 은행권의 대출 조이기는 계속된다. 우리은행은 다음 달 2일부터 주담대와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최대 0.20%포인트(P) 올리고, 같은 날 IBK기업은행도 주담대 금리를 0.55%P, 전세대출 금리를 0.30%P 인상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다음 달 4일 주담대와 전세대출 금리를 각각 최대 0.20%, 0.45%P 올린다. 다른 은행도 금리 인상을 검토 중이다.

대출 제한도 강화된다. 신한은행은 이날부터 대출모집인 접수를 전면 중단했다. 지난 10일부터 수도권 지역에서만 대출모집인 접수를 중단했는데 전국으로 확대했다. 생활안정자금 대출은 지점이 아닌 본부에서 심사를 진행한다. 기업은행도 다음 달 2일부터 1주택자 주택구입목적 주담대 금지, 대출모집인 취급 대출 중단을 시행할 예정이다.

대출 증가 규모가 한 달 사이 절반이 줄었으나 은행권이 계속해서 대출을 조이는 이유는 대출 둔화 정도로는 올해 계획한 목표를 맞출 수가 없어서다. 지난 8월과 비교해 증가 속도가 둔화했지만 지난달은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역대 최대 수준이었다.

이달 증가 규모는 지난 5월(일평균 2489억원)과 6월(일평균 2811억원)과 비슷한 수준인데 5월, 6월 모두 가계대출이 5조원 이상 증가했다. 여전히 가계대출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지난해는 전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37조원으로 월평균 약 2조원 늘었다.

특히 몇몇 은행은 가계대출 잔액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달 이미 일부 은행은 연간 계획했던 가계대출 잔액 규모를 2조~3조원 넘어섰다. 월 상환금액만큼도 신규 대출을 내주면 안되는 처지다.

또 금리를 다른 은행보다 낮게 유지하면 '쏠림 현상'으로 인해 대출이 많이 늘어날 위험도 있다. 이런 이유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도 커졌지만 대출 금리는 당분간 떨어질 가능성이 작다.

시중은행 고위관계자는 "현재 상황에서 연간 계획을 맞추려면 대출 창구를 사실상 닫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실수요자 보호도 필요하기 때문에 대출을 내주고 있지만 그 외 대출은 추가로 내주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김남이 기자 kimnami@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