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 소설가 카프카의 ‘열리지 않는 문’… 그리고 한국의 첫 노벨문학상 [김유태의 라르고]

김유태 기자(ink@mk.co.kr) 2024. 10. 21. 13: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라르고(Largo) : '아주 느리게, 풍부한 표정으로'라는 의미를 가진 음악 용어입니다.

훗날 '카프카의 문지기 비유'로 널리 알려질 이 소설을 카프카는 꽤 아꼈다고 한다.

그런데 그 모든 해석을 감안하더라도 인간이 지향하는 모든 욕망은 언제나 자신만 열 수 있는 한 겹의 문 뒤에 숨겨져 있다.

그렇다면, 저 문지기는 사내 그 자신이 만든 환영은 아닐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라르고(Largo) : ‘아주 느리게, 풍부한 표정으로’라는 의미를 가진 음악 용어입니다. 각박한 세상, 빠르고 단단한 현실에서 잠시 발걸음을 멈추고 느리게 우리 자신의 내면을 살펴봅니다.

체코 소설가 프란츠 카프카의 1915년 작품 ‘법(法) 앞에서’는 은유와 상징이 눈부신 초단편 소설이다.

한 사내가 문지기에게 찾아와 “문 안으로 들어가게 해달라”고 청한다. 문지기는 크게 웃으면서 사내에게 “문 안으로 들어가는 건 가능하지만 지금은 안 된다”고 말한다. 또 “문 안으로 들어가도 두 번째, 세 번째 문앞에 더 강한 문지기가 버티고 서 있다”고도 강조한다.

체코 소설가 프란츠 카프카의 여권 사진. [이스라엘 국립도서관·Wikimedia Commons]
고민하던 사내는 ‘입장 허가’를 기다리는 편이 낫다고 판단한다. 그는 가진 돈을 전부 털어 문지기를 매수하려 들고, 눈앞의 현실에 원망과 저주 섞인 말도 내뱉는다. 그러나 아무리 기다려도 입장 허가는 내려지지 않는다.카프카다운 소설적 발상은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긴 시간이 흘러 늙어버린 사내는 임종에 가까워진다.

몸이 굳어가던 사내는 문지기에게 그동안 묻고 싶었던 최후의 질문을 던진다. “왜 들여보내 달라고 부탁하는 이가 나 말고 없는 거요?” 문지기는 답한다. “아무도 이 문으로 들어갈 수가 없었으니까. 왜냐하면 이 입구는 오직 당신만을 위한 문이었으니까.”

‘법 앞에서’가 수록된 프란츠 카프카의 책 표지. [Wikimedia Commons]
훗날 ‘카프카의 문지기 비유’로 널리 알려질 이 소설을 카프카는 꽤 아꼈다고 한다. 제목의 ‘법’은 죽음의 법칙으로 해석되기도 하고, 정치적으로는 권위에의 접근, 종교적으로는 신의 구원을 뜻하기도 한다.

그런데 그 모든 해석을 감안하더라도 인간이 지향하는 모든 욕망은 언제나 자신만 열 수 있는 한 겹의 문 뒤에 숨겨져 있다. 그렇다면, 저 문지기는 사내 그 자신이 만든 환영은 아닐까. 자신이 만들어낸 통제자 때문에 인간은 문을 열지 못하는 것이다.

인간은 열리지 않는 각자만의 문앞을 서성거리는 방랑자 신세다. 입장 허가를 기다리지만 팡파르가 울리는 순간은 적다. 행복보다 불행의 총량이 많은 이유다.

그뿐인가. 쓰러질 듯 지친 우리는 열쇠구멍이 보이지 않는 그 문앞을 이탈한다. 좁은 문 대신 넓은 문을 택하며, 그조차 버거우면 문앞을 떠나버린다. 그렇게 거리로 나가 행렬에 합류해 익명으로 남는다. 익명의 곁에서 익명이 된다. 그게 차라리 편하다.

오귀스트 로댕의 작품 ‘지옥의 문’. 스위스 취리히에 설치된 작품이다. [Roland zh·Wikimedia Commons]
헤겔은 우연이 집적(集積)되면 필연으로 귀결된다고 봤다. 우연과 필연은 대립하지 않는다는 것.

그보다 앞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연을 둘로 나눠 설명했다. 자발적 우연(아우토마톤)과 행운적 우연(튀케). 아우토마톤은 비의도적이고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우연이고, 튀케는 인간이 ‘목적’을 갖고 진행하는 활동 속에서 조우하는 우연이다. 카프카의 사내가 간절히 붙들어야 했던 단어는 그러므로 ‘튀케’이지 않았을까.

노벨문학상을 전시한 ‘노벨 챔버’의 모습. [노벨위원회 웹사이트]
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모든 공동체는 열리지 않을 것만 같았던 문이 비로소 열렸다며 환호하는 중이다. 문앞에서 입장 허가를 기다렸던 사내의 불운했던 처지만큼은 가까스로 면하게 됐다.

문이 열렸으니 두 번째, 세 번째 다음 문을 열 가능성도 획득했다. 헤겔식으로 말하면 그건 우연의 집적이 허락해 준 필연이었을까. 아리스토텔레스식으로 표현한다면 지금 우리가 목격하는 사건은 튀케였음이 분명하지만 말이다.

우연과 필연, 그건 문앞에서 결과를 기다려본 자만이 알 수 있는 무엇이다. 인간이란 우연을 우연으로 여기지 않는 유일한 동물이지 않던가?

김유태 문화스포츠부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