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후 미분양’ 11년만에 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다 짓고도 팔리지 못한 아파트가 2013년 이후 11년 4개월만에 다시 2만3000가구를 넘어섰다.
하지만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오히려 더 늘었다.
지난 달 말 2만2872호였던 준공 후 미분양 수는 2월 말 2만3722호로 3.7%(850호) 증가해 2013년 10월(2만4667호) 이후 처음으로 2만3000호를 넘어섰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최근 준공 후 미분양 3000가구 매입 공고를 냈지만 시장에선 여전히 의구심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방 아파트 절반이 텅 비었다”
악성 미분양 2.3만가구 넘어서
다 짓고도 팔리지 못한 아파트가 2013년 이후 11년 4개월만에 다시 2만3000가구를 넘어섰다. 준공 후 미분양은 건설사에 그대로 손실을 가져와 유동성 위기를 불러올 수 있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된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 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준공 후 미분양은 오히려 늘었다.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61호로 한달 전(7만2624호)보다 3.5%(2563호) 감소했다. 수도권의 미분양은 이 기간 1만9748호에서 1만7600호로 감소했으며, 지방 미분양도 5만2876호에서 5만2461호로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오히려 더 늘었다. 지난 달 말 2만2872호였던 준공 후 미분양 수는 2월 말 2만3722호로 3.7%(850호) 증가해 2013년 10월(2만4667호) 이후 처음으로 2만3000호를 넘어섰다. 11년 4개월만 최고치다.
준공 후 미분양은 2023년 8월부터 19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지난 달에는 수도권을 비롯해 경상도에서 악성 미분양이 크게 늘었다.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은 1월 4446호에서 4543호로 2.2%(97호) 증가했으며, 경북은 13%, 경남은 21% 급증해 전체 증가세를 견인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최근 준공 후 미분양 3000가구 매입 공고를 냈지만 시장에선 여전히 의구심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다. 업계가 요구해 온 취득세와 양도소득세 완화 등 세제 혜택이 빠진 데다 LH 매입 물량도 적어, 아파트 분양시장 침체를 이겨내기엔 부족하다는 평가다.
국토부 관계자는 “세제 혜택 등의 지원책으로 준공 후 미분양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초 주택 공급 지표 또한 부진하다. 주택 공급 선행지표인 주택 누계(1~2월) 인허가는 3만4955호로 전년 동기 대비 28.3% 감소했으며, 누계 착공은 2만247호로 같은 기간 40.6% 감소했다. 누계 분양 역시 1만2825호로 전년 동기 대비 67.9% 급감했다.
반면, 지난달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에 힘입어 주택 거래량은 급증했다. 주택 매매 거래는 5만698건으로 전월(3만8322건) 보다 한달 만에 32.3%가 늘었다.
지역별로 수도권이 2만4026건으로 전월 대비 43.6% 증가했다. 특히 수도권 매매 거래 중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는 4743건으로 전월 대비 46.7% 급증했다. 비수도권은 2만6672건으로 전월 대비 30.3% 증가했다.
2월 전국 전월세 거래량은 27만8238건으로, 한 달 전(20만677건)보다 38.6% 증가했고, 1년 전(26만2523건)보다는 6.0%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17만6506건으로 전월 대비 35.4%, 전년 동월 대비 2.7% 증가했다. 지방은 10만1732건으로 전월 대비 44.6%, 전년 동월 대비 4.8% 증가했다.
전월세 거래를 들여다보면 월세 거래(보증부월세·반전세 등 포함)가 17만5124건으로 전체의 63%를 차지하며 전세를 크게 앞질렀다. 2월 누계 기준으로 연도별 월세 거래 비중은 2021년 41.7%, 2022년 47.1%, 2023년 55.2%, 2024년 57.5%, 올해 61.4% 등으로 최근 수년간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 홍승희 기자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이유 46억에 사들인 과천 건물, 7년 만에 10억 뛰었다
- [단독] ‘단역배우 자매 사망’ 어머니는 지옥을 산다…가해자에 눈덩이 손해배상 [세상&]
- “엄마 통해 나 입막음 하는 거냐”…故설리 오빠, ‘나체신 강요 의혹’ 김수현 또 저격?
- 윤하 깜짝 결혼…남편은 카이스트 출신 유튜버 ‘과학쿠키’
- “이런 얘기 없었잖아” 6시간 타투해야 했던 수지, ‘김수현 논란’에 재조명
- 백종원 소스 뿌린 농약통…‘녹, 구리스’ 묻어나왔다
- “부모님 잘 보살펴드리고”…‘돈뭉치’ 건넨 이 남자의 정체
- “묘지에 나뭇가지 태우다가” 경북 산불 실화 용의자 입건…혐의 부인
- ‘저속노화’ 정희원 교수가 매일 먹는다는 ‘이 밥’ [식탐]
- “옷 다 벗고!”…고2 김새론에 보낸 김수현 문자 ‘시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