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이리 허술해”…25년 베테랑 아파트 관리직원 잠적, 텅빈 통장만 덩그라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500가구가 사는 광주 광산구의 한 아파트 관리사무소 경리직원이 수억원대 관리비를 빼돌리고 잠적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 아파트는 입주민에게 받은 관리비를 관리사무소가 직접 필요한 곳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B씨는 인터넷뱅킹을 활용하기 시작한 2016년부터 10년 가까이 관리비에 손을 댄 것으로 관리사무소 측은 파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1일 광주 광산구 소재 A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따르면 이 아파트에서 25년째 경리 직원으로 일하던 40대 B씨는 지난 5일부터 돌연 출근하지 않고 있다.
이날은 관리사무소 직원 월급을 지급해야 하는 날이었다. B씨 대신 다른 직원이 관리비 입출금 통장을 찾아봤지만,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었다.
수상함을 느낀 관리사무소 측은 은행에 찾아가 입출금 내역과 잔액을 확인했고, 텅빈 통장 잔고를 확인했다. 심지어 장기수선충당금 7억원도 모두 사라진 뒤였다.
이 아파트는 입주민에게 받은 관리비를 관리사무소가 직접 필요한 곳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25년 동안 줄곧 관리비 출납 업무를 맡아온 B씨가 모두 빼돌린 사실을 인지한 순간이었다.
B씨는 인터넷뱅킹을 활용하기 시작한 2016년부터 10년 가까이 관리비에 손을 댄 것으로 관리사무소 측은 파악했다.
이전에는 매번 관리소장과 입주자대표회장의 도장을 찍어 승인받아야 했지만, 인터넷뱅킹을 활용하면서 출납 권한은 온전히 B씨에게 주어졌다.
그는 인터넷뱅킹 이체 시 ‘받는 사람’ 이름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점을 노렸다.
관리비를 자신의 계좌로 이체하면서 마치 거래처에 보내거나 정상적인 사용처에 보낸 것처럼 통장 기록을 만들어 의심을 피했다.
300가구 이상 아파트단지의 경우 의무적으로 외부 회계감사를 받도록 한 제도가 마련돼 있지만 이 역시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B씨가 잔액 증명서 등 회계 자료·서류를 위조하거나 변조해 이러한 제도적 감시를 피했기 때문이다.
회계감사는 전수 조사가 아닌 표본 조사가 많은 데다 제출된 서류를 근거로 이뤄지기 때문에 회계 담당자가 작정하고 꾸며놓은 서류는 진위를 파악하기 어려운 탓이다.
업계 관계자는 “감사를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전수 조사를 하긴 어렵다”며 “담당자가 나쁜 마음을 먹고 속이려고 들면 감사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문제는 지자체가 사유 재산에 대해 개입 권한이 없다는 점이다. 공동주택관리법을 위반한 경우 과태료 부과할 수 있지만 사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체 관리·감독 체계를 정비하거나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광주 광산경찰서는 관리사무소 측이 B씨를 업무상 횡령 등 혐의로 고소하자 수사에 착수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속보] 가수 휘성, 자택서 숨진 채 발견…향년 43세 - 매일경제
- ‘목욕탕서 女 3명 사망’ 목욕탕 업주, 수중안마기 감전에 한다는 말이… - 매일경제
- '서울대 인기과 = 韓주도 산업' 통했는데…앞으로는? - 매일경제
- 김수현 측, 故김새론과 6년 교제설 반박…“허위사실에 강력 대응” - 매일경제
- 노무현 때 3일, 박근혜 때 2일전 공지했는데…尹 탄핵심판 선고 언제하나 - 매일경제
- “보험금 잘못 청구했다고, 실손보험료 2배 폭탄 맞았다”…대체 무슨 일 - 매일경제
- “부자아빠 말 들을걸 그랬나”...美증시 폭락 전날에도 경고했다는데 - 매일경제
- “탄핵심판날 총이라도 쏘면 큰일”...민간 총기 10만정, 당일 출고 금지 검토 - 매일경제
- “좋은 일 한다고 기부했더니”...증손자에 월1000만원 주고, 상품권 ‘깡’에 고가 아파트까지 -
- 전 삼성 에이스 윤성환, 승부조작 이어 빚 안 갚아 징역 1년 6개월 감옥행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