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팀 코리아, 중동서 5조 잭팟···120조 PPP시장 주도권 잡는다
KIND·한국남부발전 등 컨소시엄
설계·시공·조달은 삼성물산 담당
정부기관 참여로 수주경쟁력 강화
도급사업보다 수익성도 2배 높아
2030년 수주액 14조 달성 추진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와 한국남부발전 컨소시엄이 총사업비 5조 원 규모의 중동 플랜트 운영 계약을 체결했다. KIND는 26일 카타르 수전력청 카라마가 발주한 ‘카타르 퍼실리티 E 담수복합발전’ 프로젝트 개발 및 운영 계약을 한국남부발전, 일본 스미토모상사 등과 함께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카타르 수도인 도하에서 2.4GW 규모의 가스복합화력 및 하루 50만 톤 규모의 담수 플랜트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2029년 발전 시설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카타르 전체 전력량의 약 16%와 담수량의 17%를 공급하게 된다.
총사업비는 37억 달러(약 5조 2000억 원)에 달한다. 이는 올해 국내 기업이 참여해 계약을 체결한 해외 투자개발형(PPP) 사업 중 가장 큰 규모다. 삼성물산은 이 사업에서 금융비융을 제외한 28억 4000만 달러(약 3조 9709억 원) 규모의 설계·조달·시공(EPC)을 수주했다. 산업은행과 우리은행도 각각 2억 달러, 5억 8000만 달러 규모의 금융 지원을 담당한다.
김복환 KIND 사장은 “이번 수주는 공공·민간의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K건설 및 K금융을 아우르는 원팀 코리아가 거둔 성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카타르 담수복합발전 프로젝트 수주는 민관이 전방위적으로 참여해 계약을 체결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 기존에는 국내 건설사들이 공사만 담당하는 도급 공사 계약 위주로 수주했지만 카타르 플랜트 사업은 프로젝트에 지분 투자까지 하는 해외 PPP다. 프로젝트에 지분 투자를 하는 KIND와 한국남부발전은 발전 시설이 준공되면 지분율에 따라 이익을 얻는다.
정부가 올 7월 PPP 방식 수주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후 5조 원 규모의 첫 대형 계약인 만큼 PPP 수주를 늘리는 기폭제가 될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건설 기업의 해외 수주에서 PPP 방식 수주 비중은 2022년 3.3%(10억 2000만 달러)에서 올 상반기 8.2%(12억 7000만 달러)까지 증가했다. 해외건설협회 등에 따르면 이번 카타르 프로젝트 및 추가 수주까지 합하면 비중이 15%를 넘어 최대 18%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연간 기준 역대 최대다. 반면 도급 방식 수주 비중은 2022년 96.7%에서 올해는 80%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해외 발주처와 국내 기업이 도급형 사업보다 PPP 사업을 점점 선호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글로벌 PPP 시장은 2023년 861억 달러까지 증가했다. 2020년(509억 달러) 대비 69% 늘어난 수치다. 손태홍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실장은 “노후 인프라 개량과 유지 보수 수요가 많은 선진국과 신규 인프라 건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개발도상국 모두 PPP 발주 방식을 지속적으로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건설 기업은 수익성 다변화 차원에서 발 빠르게 대응하는 모습이다. 특히 민간기업만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프로젝트에 참여할 경우 리스크 관리에 한계가 있을 수 있어 높은 대외 신인도를 보유한 정부 기관과 함께 투자에 나서고 있다. 대표 기관이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인 KIND다. 앞서 KIND는 지난달 삼성물산·KDB인프라자산운용·한국도로공사와 함께 컨소시엄을 꾸려 튀르키예에서 2조 1000억 원 규모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삼성물산이 EPC를 맡고 완공 이후 15년간 운영을 거친 뒤 튀르키예 정부에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식이다.
정부도 올 7월 ‘해외 투자 개발 사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PPP 사업 수주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연내 1조 1000억 원 규모의 해외 플랜트·인프라·스마트시티(PIS) 2단계 펀드를 결성하고 KIND의 역할을 더 키우기로 했다. 우리 기업의 사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KIND의 지분 투자 비중을 최대 30%에서 50%로 늘리고 지금은 불가능한 대주주로서 참여를 허용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또 KIND가 우리 기업의 지분을 인수할 수 있도록 허용해 기업의 자산 유동화(엑시트)도 지원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PPP 수주액 ‘100억 달러(약 13조 9000억 원)’를 달성하겠다는 것이다. 건설 업계 관계자는 “PPP 수주 시장 선점 비율을 더 늘릴 수 있도록 민관 협력 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동훈 기자 hooni@sedaily.com신미진 기자 mjshin@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혼외자 논란’ 대비?…‘몸값 12억’ 정우성, 지난해부터 광고 계약 ‘0건’
- '53억 찍었던 아파트가 어쩌다'…앉아서 '10억' 떨어진 집주인들 '비명'
- '난민은 받자면서 아들은 집에도 안 들이네'…'친부 고백' 정우성 저격한 정유라
- “층간소음 다 XX버리겠다”…두살배기 앞에서 흉기 꺼내든 30대
- '30만원 케이크' 업그레이드 됐다, 또 조기품절?…신라호텔 홀리데이 케이크 보니
- 신인 걸그룹 멤버 성추행 의혹…소속사 대표 “성적 접촉 없었다” 부인
- 로제X브루노 APT 직관하나 했는데…'MAMA' 사전 녹화 '논란'
- '선행도 영웅급' 임영웅팬, 소아 화상환자 위해 3천달러 기부
- 근력 확 떨어지는 갱년기 여성…'이 주스' 마셨더니 놀라운 효과
- 경찰관 종아리 물어뜯은 60대 주취자…제압하자 “독직폭행” 고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