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수도권 집값 올해보다 더 오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년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이 1% 상승할 거란 전망이 나왔다.
건산연에 따르면 올해 1~9월 수도권 주택가격은 작년 말보다 1.1%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내년에도 수도권 상승, 지방 하락 흐름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시장 심리가 연초 대비 회복됐지만 여전히 과거 대비 부담스러운 가격 수준"이라며 "9월 이후 은행의 대출 심사 강화, 전반적인 경기둔화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만큼의 가격상승을 관측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집값 1% 상승, 지방은 2% 하락"
대출규제·경기둔화 여파 "내년 수도권 강보합"
매수→전세 수요 증가…빌라 기피는 누그러져
내년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이 1% 상승할 거란 전망이 나왔다. 올해 연말까지 0.8% 상승으로 추정한 걸 감안하면 올해보다 더 오를 것이란 얘기다. 반면 지방은 2% 하락해 전국적으로 1% 하락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시장 심리가 회복됐지만 여전히 절대적 가격수준이 높고 대출 규제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는 게 이유다.
너무 높은 집값…"상반기 장 재현 힘들 것"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6일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을 발표했다.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3분기까지 시장 흐름은 그간 누적됐던 실수요자의 움직임이 예상보다 크게 나타났다"며 "기준금리 인하를 선반영한 시장금리의 인하 효과로 수도권 중심 상승세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건산연에 따르면 올해 1~9월 수도권 주택가격은 작년 말보다 1.1%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4분기를 포함한 연간 전망치는 0.8%로 소폭 둔화를 예상했다. 9월까지 0.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 지방은 연간 -0.8%로 하락세를 지속할 것으로 봤다. 올해 전국 매매가격 전망은 0.0%로 보합이다.
내년에도 수도권 상승, 지방 하락 흐름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수도권 1.0%, 지방 -2.0%로 전국 매매가격은 올해보다 1.0% 하락할 거란 분석이다. 공급 부진에 의한 가격 상승 압력은 내년 하반기께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시장 심리가 연초 대비 회복됐지만 여전히 과거 대비 부담스러운 가격 수준"이라며 "9월 이후 은행의 대출 심사 강화, 전반적인 경기둔화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만큼의 가격상승을 관측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 주택 전셋값의 경우 1~9월 1.0%보다 상승 폭을 키운 1.5%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엔 1.0%로 보폭을 줄일 전망이다. 김 부연구위원은 "매수세 축소가 전세수요로 유입돼 소폭 상승세가 예상된다"면서도 "전세 사기로 인한 빌라 기피 현상이 완화돼 아파트 전셋값에 가해지는 압력이 올해보다 다소 완화될 것"이라고 봤다.
착공 줄더니…내년 건설투자 2% 감소
건설경기는 내년에도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측됐다. 국내 건설 수주는 전년 대비 2.2% 증가하는 반면 건설투자는 2.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2022년 248조4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건설 수주는 지난해 206조7000억원으로 1년 새 16.8% 감소했다. 올해(205조8000억원)도 감소세를 이어갔다. 내년엔 210조4000억원으로 소폭 회복될 전망이다.
다만 2022~2023년 착공 감소에 따라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건설투자는 부진할 전망이다. 이지혜 연구위원은 "건설 수주는 추가적인 금리 하락과 정부의 주택공급 노력에 따라 점진적으로 회복할 것"이라면서도 "건설투자는 선행지수인 수주 및 착공 감소의 영향이 내년까지 이어지며 부진한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봤다.
건산연은 내년 인허가 물량이 44만가구로 작년 수준, 분양 물량이 29만가구로 2022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연간 인허가 물량은 36만5000가구로 작년(42만8744가구)보다 감소할 전망이다. 미분양 증가와 초기 분양률 하락 등이 영향을 미쳤다. 내년 이후엔 프로젝트금융(PF) 여건이 나아져 44만가구로 회복이 예상됐다.
올해 연간 분양 물량은 작년(19만2425가구)보다 개선된 26만가구로 예상됐다. 내년엔 이보다 많은 29만호가 분양에 나설 전망이다. 다만 제반 비용이 상승하면서 시장 기대만큼 낮은 분양가 책정이 어려운 상황이다.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사업장에 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관측됐다.
김진수 (jskim@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모주달력]더본코리아 상장‧HD현대마린 락업 대거 해제
- 티빙-웨이브 합병 둘러싼 엇갈린 시선
- '현대차사옥 뒤부터 옛골까지' 서리풀지구 2만가구 누구에게?
- 청약 가점 낮다고?…'추첨' 많은 서울 대단지 나온다
- [거버넌스워치] 올해 고희…원익그룹 이용한 代물림 속도 낸다
- 기아 스포티지, 디자인·주행 개선됐다…판매가 300만원↑
- 밥캣 꺾이니 '휘청'…두산에너빌, 영업익 63% 빠졌다
- '25만원' 청약통장, '구멍난 세수 메우기'용이라고?
- '흑백요리사'의 힘…윤서울, 자체 '온라인몰' 열었다
- "이득인 줄 알았는데"…쓱데이 '럭키박스'의 비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