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메타 앞에 '사생활'은 없다…편리함과 맞바꾼 개인정보

이승우 2024. 6. 9. 18: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추천 알고리즘이 엔진이라면 개인정보는 엔진을 움직이는 연료와 같다.

양질의 개인정보를 얼마나 많이 모으는가에 따라 알고리즘의 결과물도 달라진다.

9일 구글에 따르면 이 회사가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범위는 크게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제공하는 정보 △사용자의 앱, 브라우저, 기기 △사용자의 활동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으로 구분된다.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제공하는 정보는 구글 계정을 개설할 때 입력하는 이름과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도 모르는 나' 알려주는 비결은 당신이 준 정보
일거수일투족 기록
어떤 영상, 몇초동안 보고
어디서 무슨 이야기 했는지
정보 저장, 다음행동 예측
맞춤·최적화란 함정
거부 못하는 광고 띄우려
동의없이 개인정보 수집도
알파벳 매출 67% 맞춤광고

추천 알고리즘이 엔진이라면 개인정보는 엔진을 움직이는 연료와 같다. 양질의 개인정보를 얼마나 많이 모으는가에 따라 알고리즘의 결과물도 달라진다. 결과물은 매출과 직결된다. 모든 기업이 고객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이유다.

 “나보다 더 나를 잘 아는 구글”

9일 구글에 따르면 이 회사가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범위는 크게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제공하는 정보 △사용자의 앱, 브라우저, 기기 △사용자의 활동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으로 구분된다.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제공하는 정보는 구글 계정을 개설할 때 입력하는 이름과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생성하고 업로드한 것은 물론 다른 사람에게서 받은 콘텐츠도 수집한다. 유튜브 동영상에 다는 댓글도 예외는 아니다. 구글 서비스를 이용할 때 쓰는 기기의 고유 식별자와 브라우저 유형, 기기 유형 및 설정, 운영체제(OS), 통신사명, 모바일 네트워크 정보,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등도 구글이 가져간다.

활동 범위 또한 넓다. 검색 단어, 시청 동영상은 물론 콘텐츠나 광고를 얼마나 봤는지를 파악한다. 음성과 오디오 정보, 사용자가 교류하거나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람들, 구글 서비스를 이용하는 타사 사이트와 앱에서의 활동, 구글 계정과 연결된 크롬 브라우저의 기록,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한 통화, 메시지 등도 수집한다.

구글의 수집은 온라인 활동에 그치지 않는다. 휴대폰 GPS와 기타 기기의 센서 데이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등의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평소 어디에 있고 어떤 경로로 이동하는지 파악한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쓰고, 크롬 브라우저로 인터넷을 이용하고, 구글 지도로 길을 찾는다면 구글은 당신에 대해 당신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을지 모른다.

다른 빅테크도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는 점은 크게 다르지 않다. 메타 역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부터 타인과의 네트워크 정보, 활동 정보, 광고와의 상호작용 등 광범위한 데이터를 가져간다고 약관에 명시하고 있다.

 끊을 수 없는 편리함의 유혹

개인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선 반드시 사용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프라이버시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세계 각국 정부는 무분별한 개인정보 수집을 엄격히 금지하는 추세다. 한국의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2022년 구글과 메타에 이용자 동의 없이 행태 정보를 수집했다는 이유로 1000억원에 달하는 과징금을 매겼다. 행태 정보는 개인이 웹사이트나 앱을 사용하면서 남기는 다양한 활동 기록이다. 구글과 메타는 이 정보를 기존 개인정보와 결합해 맞춤 광고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처벌받았다.

빅테크는 개인정보를 합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수많은 이득을 제공한다. 가장 뛰어난 검색 엔진부터 세계 사람들과 쉽게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 사진부터 일기장까지 모든 추억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공간까지 다양하다. 이 모든 편의의 대가가 개인정보인 셈이다.

방대한 정보를 모아 이들이 하는 일은 무엇일까. 구글은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통해 “추천, 맞춤 콘텐츠 제공 등 사용자를 위해 서비스를 맞춤 설정한다”고 밝히고 있다. 사용자 설정에 따라 관심 분야와 활동을 토대로 개인 맞춤 광고를 표시할 수도 있다. 지난해 구글의 검색·광고 부문 매출은 모회사 알파벳 매출(3074억달러)의 절반이 넘는 57%(1750억달러)를 기록했다. 유튜브 광고(315억달러)까지 더하면 전체 매출의 3분의 2가 맞춤 광고에서 나왔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