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운의 금성? 새벽에 빛나는 별? 코리아 나일론? 도대체 무슨 기업 이름일까요 [말록 홈즈]

2024. 6. 7. 11: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플렉스 에티몰로지’란 ‘자랑용(flex) 어원풀이(etymology)’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쓰는 말들의 본래 뜻을 찾아, 독자를 ‘지식인싸’의 세계로 안내합니다. 작은 단서들로 큰 사건을 풀어 나가는 셜록 홈즈처럼, 말록 홈즈는 어원 하나하나의 뜻에서 생활 속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우리는 단어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지만, 정작 그 뜻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쓰곤 합니다. 고학력과 스마트 기기가 일상화된 시대에, ‘문해력 감소’라는 ‘글 읽는 까막눈 현상’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습니다. 단어는 사물과 현상의 특성을 가장 핵심적으로 축약한 기초개념입니다. 우리는 단어의 뜻을 찾아가면서, 지식의 본질과 핵심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를 떠난 이들의 지식 인싸력도 레벨업됩니다.

[사명(社名)과 사업(事業)]

20대 젊은이들의 가장 큰 고민은 취업입니다. 좋은 회사에 입사해 경제적 안정과 원하는 꿈을 이뤄가는 ‘빛나는 미래’를 바라지만, 막상 어렵게 들어간 회사가 본인의 기대와 달라 찌글찌글해, ‘빚 내는 미래’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입사 지원 때 사명(社名)을 고려해 보면, 사업과 미래를 읽을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회사의 이름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회사들은 비전과 이상을, 또 어떤 기업들은 주력사업이나 제품을 사명에 담기도 하는데요. 이름의 뜻을 알면 회사의 정체성과 비즈니스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우리나라 주요 기업들의 사명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는 한자 사명을 쓰는 기업들이 많은데요. 한자는 이상과 비전을 간결하게 함축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먼저 대한민국 현대 경제를 이끌어온 현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현대(現代: 지금 현, 시대 대)’는 말 그대로 ‘지금 우리가 사는 시대’를 의미합니다. ‘과거의 낡음’이 아닌 ‘새로움’과 ‘시대를 앞서가려는 의지’가 담겨있습니다. 회사가 시작된 1940년대에는 현대가 과거의 상대어로, 지나간 시간이 아닌 지금과 미래를 의미했죠. 대한민국 산업의 역사를 쓴 창업주 정주영 회장은, 미래지향적인 시각으로 현대를 키워나갔습니다. 대표 계열사인 현대자동차도 다양한 산업 기술의 집약체인 자동차 사업에 미래지향적 아이디어와 혁신을 융합한 노력으로, 글로벌 자동차업계의 리더기업으로 우뚝 섰다고 생각합니다.

국가 대표 기업 삼성(三星)은 ‘세 개의 별’을 뜻합니다. 3은 길한 숫자로 ‘많고 강함’을, 성은 ‘높은 곳에서 밝게 빛나는 별’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한화는 ‘한국화약’을 줄인 말이라고 합니다. 화약은 다양한 건설사업과 방위산업에 활용되며 인류의 문명을 발전시켜왔습니다. 대한민국 국군이 보유한 수류탄도 한화가 생산합니다. 그러고 보니 세계적으로 유명한 여의도 불꽃축제는 한화의 63빌딩 앞에서 열리는군요.

두산은 말 두(斗)자와 뫼 산(山)자로 이뤄졌습니다. 쌀을 한 말 한 말 쌓아서, 큰 산을 이룬다는 뜻입니다. ‘작은 노력 하나하나를 모아 위대한 이상을 실현한다’는 철학을 담았습니다.

20세기 대한민국의 큰 별이었던 대우(大宇)는 ‘큰 대’자에 ‘우주 우’ 자를 씁니다. ‘우’자에는 ‘천하’라는 뜻도 있죠. 세계 경영을 추진했던 기업의 전략과 동일한 이름이었습니다.
효성(曉星)은 ‘새벽 효’에 ‘별 성’자를 씁니다. 효성은 일반명사로는, ‘새벽에 동쪽 하늘에 빛나는 별’과 ‘매우 드문 뛰어난 존재’를 뜻하는데요. 효성그룹도 화학섬유, 중공업 등 다양한 B2B 산업분야에서 빛나고 있습니다. ‘부모님을 섬기는 정성’을 가리키는 ‘효성(孝誠: 효도 효, 정성 성)과는 동음이의어입니다.
영어약자 이름들도 인기있습니다. 표기하기 편하고 발음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어, 글로벌 성장을 추진하는 기업들이 선호합니다. LG는 ‘럭키(Lucky)’와 ‘골드스타(Gold Star)’의 머릿글자를 모은 이름이라고 합니다. ‘Lucky’는 ‘행운이 깃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사명을 지었던 1940년대에는 한자 사명이 대세였습니다. 럭키와 발음이 비슷한 한자 락희(樂喜: 즐거울 락, 기쁠 희)를 써서 ‘즐거움과 기쁨을 주는 기업’이란 의미를 더했습니다. 이후 영어 사명 럭키를 거쳐, 럭키에 전자 분야 계열사 금성을 더한 ‘럭키금성’을 지나,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하며 외국인들도 쉽게 부를 수 있는 LG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LG에서 분리해 나온 LS는 ‘Leading Solution’의 약자입니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B2B 비즈니스 그룹으로, 금속, 소재, 전기,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을 이끄는 ‘선도적 해법’을 제시한다는 의미를 담았습니다. 대표적 계열사인LS MnM은 생산량 세계 2위 동제련소를 운영하고 2차전지 소개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LS전선은 글로벌 메이저 전선기업입니다. LS Electric은 대한민국 스마트 그리드 산업을, LS 엠트론은 트랙터 산업을, E1은 LPG 산업을 이끌고 있습니다. 국가대표 스포츠 브랜드 프로스펙스도 LS의 가족인 LS네트웍스가 만듭니다.

SK는 ‘선경’의 약자입니다. 선경(鮮京: 고울 선, 수도 경)은 ‘선만주단’과 ‘경도직물’의 앞글자를 모은 이름입니다. 이 두 회사가 합작해 섬유회사 ‘선경직물’을 설립했습니다. ‘선만’은 광복 전 조선에서 만주로 직물을 공급했던 사업 내용에서, ‘경도’는 일본 ‘교토’의 한국식 한자발음에서 왔습니다. 섬유사업에서 시작해 정유, 통신, 건설 등 다양한 영역에서 우리나라 산업을 이끄는 기업으로 도약했습니다.

CJ는 본래 ‘제일제당(Cheil Jedang)’을 의미합니다. 제일제당은 ‘최고의 설탕을 만드는 기업’란 뜻입니다. 1990년대에 삼성에서 분리를 시작해, 2002년 CJ그룹이 출범했죠. 식품사업을 넘어 외식, 영화, 방송, 유통, 물류까지 우리 생활 곳곳에서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코오롱(KOLON)은 ‘코리아 나일론’의 합성어입니다. 한국을 나타내는 코리아와 기업 성장의 토대가 된 제품인 나일론을 함께 모았습니다.
KT&G는 원래 ‘Korea Tobacco & Ginseng’, 한국담배인삼공사의 약자를 모은 이름이었습니다. 2000년대 중반 인삼공사가 분리했지만, 사명을 바꾸지 않고 ‘Korea Tomorrow & Global’로 의미를 재해석해 ‘대한민국의 내일과 세계적 성장’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식품업계에는 동물에서 유래한 사명들이 눈에 띕니다. 조미료의 대명사이자 회사이름이었던 미원(味元: 맛 미, 으뜸 원)은 1997년 대상으로 사명을 바꿉니다. 대상(大象; 큰 대, 코끼리 상)은 ‘큰 코끼리’를 뜻합니다. 불교에서 코끼리는 온화한 성품과 덕을 베푸는 이미지를 상징합니다. 친근하고 듬직한 모습이 떠오르는데요. 아마 철수세미처럼 심성 고운 아프리카 코형은 아닌 것 같습니다.··*
해태는 전설의 영물에서 왔습니다. 해태는 충직한 품성에 선과 악을 구분하는 능력을 가져, 옳지 못한 이를 응징했다고 하네요.
기린제과는 쌀과자로 유명하죠. 기린(麒麟)은 평화롭고 행복한 시대에 나타난다는 신화 속 동물로, 모가지가 긴 기린과는 다른 동물입니다. 그런데 영어 이름이 둘 다 ‘giraffe’로 같습니다. 기묘하죠.
가문과 이름에서 나온 사명들도 있습니다. 방위산업과 금속가공산업으로 유명한 풍산(豊山: 넉넉할 풍, 뫼 산)은 풍산 류씨가, 유명한 유제품기업인 남양유업(南陽: 남녘 남, 볕 양)은 남양 홍씨가 창업한 기업입니다.
금호는 비단 금(錦)자에 호수 호(湖)자를 쓰는데, 창업주 박인천 회장의 어린 시절 호였다고 합니다.

자, 오늘은 우리나라 회사들의 다양한 이름 유래를 알아봤습니다. 어감으로만 접했던 사명을, 뜻과 유래를 알고 나니 새롭고 정겨운 느낌이 드시나요? 우리나라 기업들이 세계에서 사랑받는 회사가 될 수 있도록, 많이 많이 응원해 주세요.

*감수: 안희돈 교수(건국대 영어영문학과). 건국대 다언어다문화연구소 소장. 전 한국언어학회 회장

[필자 소개]

말록 홈즈. 어원 연구가/작가/커뮤니케이터/크리에이터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22년째 활동 중. 기자들이 손꼽는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는 커뮤니케이터. 회사와 제품 소개에 멀티랭귀지 어원풀이를 적극적으로 활용. 어원풀이와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융합해, 기업 유튜브 영상 제작.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