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서른 아홉에 훌쩍 네덜란드로 떠나 승무원이 된 사연 [여책저책]

장주영 매경닷컴 기자(semiangel@mk.co.kr) 2024. 6. 6. 11: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현재 전 세계 인구는 81억 명이 넘습니다. 인도와 중국이 14억 명을 넘겼고, 미국 3억 명, 인도네시아와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브라질 등이 2억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나라 수는 어떨까요. 유엔(UN) 정회원국은 193국,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가입국은 206국, 국제축구연맹(FIFA) 회원국은 211국,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등록한 국가는 249국입니다. 이 가운데 비자 없이 여권만으로 입국할 수 있는 나라를 조사하는 헨리여권지수가 파악한 국가는 199국입니다. 대한민국 여권으로는 전 세계 193개국을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는 상황인데요.

사진 = pexels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은 전 세계인의 몇 명을 만나보셨나요. 나아가 몇 나라를 다녀오셨나요. 숫자로만 따진다면 대부분이 아직 한참 만나고 다녀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요새 아예 한 나라에 머무는 것을 선택한 사람도 더러 보입니다. 머무는 여행, 훑는 것이 아니라 현지에 동화되는 것을 선호하는 여행이 뜨면서 더욱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여책저책이 다룰 두 권의 책 속 저자도 비슷한 생활을 하는 이들입니다.
​한 달 살기 동남아시아
조대현 | 해시태그
한 달 살기 동남아시아 / 사진 = 해시태그
특정 도시의 라이프스타일과 문화를 일상생활에서 체험하듯 살고 싶다면 한 달 살기만한 여행법은 없을 것이다. 실제로 각 도시마다 전시, 박물관 체험 등 다양한 테마 프로그램이 있어 경험하기를 원한다면 다채로운 선택을 할 수 있다.

​한 달 살기는 누가 처음으로 만든 여행이 아니다. 바쁘게 보고 돌아다니는 관광에 지친 사람이 늘어나다보니 자연스레 원하는 여행이 한 달 살기로 진화했다. 한 달 살기는 ‘장기 여행’의 다른 말일 수도 있다. 그 전에는 대부분 코스를 짜고 코스에 맞추어 10일 이내로 동남아시아든 유럽이든 가고 싶은 여행지로 떠났다. 유럽 배낭여행도 단기적인 여행방식에 맞추기만 한 게 비일비재였다. 여유란 없이 한 달 내내 쉴 틈 없는 코스를 좇기 일쑤였다.

​저자 조대현은 이런 점에서 착안해 한 달 살기 책의 집필에 나섰다. 그는 63개국, 298개 도시 이상을 여행한 베테랑 여행가이다. 이미 강의와 여행 컨설팅, 잡지 등의 칼럼을 통해 한 달 살기에 대해 수없이 전했고, 이번 책은 그중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를 풀어냈다.

베트남 나트랑 / 사진 = pexels
한 달 살기를 하기 위한 마음가짐부터 밑그림 그리기, 준비사항, 어려움이 있을 때 해결방법 등의 모범사례를 충실히 실었다. 한 달 살기의 성지로 불리는 태국 치앙마이와 인도네시아 발리를 비교한 것을 시작으로, 베트남 호이안과 나트랑, 태국 끄라비와 라오스 루앙프라방 등 한 달 살기에 최적화한 동남아 도시의 특장점을 살뜰히 소개했다.

​작가는 “여유롭게 호화로운 호텔에서 잠을 자고 수영장에서 여유롭게 수영을 하면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꿈인 사람도 있지만 한 달 이상 여행을 하면 생각 자체가 달라진다”며 “일상에서 벗어나게 돼 새로운 위치에서 자신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장기여행을 꿈꾼다면, 나아가 한 달 살기에 도전하고 싶다면 ‘한 달 살기 동남아시아’는 좋은 안내서로 손색없다.

나는 암스테르담으로 출근합니다
신수정 | 미다스북스
나는 암스테르담으로 출근합니다 / 사진 = 미다스북스
​“실수해도 괜찮아.” “어떠한 삶도 완벽할 수 없어.” “그래서 지금 너는 행복하니?” 누구나 이런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질 때가 있다. 저자 역시 이와 같은 질문을 되묻다 마흔 살을 앞두고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으로 떠나 비행기 승무원이 됐다.

​반 고흐, 하멜 그리고 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감독이었던 히딩크 감독으로 잘 알려진 네덜란드는 처음에는 친근한 나라였다. 하지만 한국인, MBTI로는 INFP인 저자가 만난 네덜란드 사람들은 너무나 직설적이고 지독한 개인주의자들인 것 같아서 점점 낯설게 느껴졌다.

​익숙해지는 데는 시간이 필요했다. 조금씩 네덜란드 문화를 알게 되면서 저자는 그동안 미처 알지 못했던 네덜란드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했다. 이를 통한 여러 경험과 순간 순간 직접 찍은 사진을 한 데 모았고, 결국 한 권의 책이 탄생했다.

​저자는 “불완전한 모습이라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살아가는 네덜란드 사람들을 보면 이런 미완성도 나의 진짜 모습이라고 겸허히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한다. 삶에서 벗어나기 위한 돌파구를 찾고 있다면 네덜란드 문화를 만나야 한다고 역설하는 저자는 네덜란드 사람들이 어떠한 삶도 완벽할 수 없다며 지금의 모습을 받아들이고 살아가라고 하는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사진 = pexels

실제로 네덜란드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부족한 나 자신을 너그럽게 대할 수 있는 법을 배우고 있다는 저자는 네덜란드 사람들에 대해 흥미로운 분석을 했다. 저자가 만난 네덜란드 사람들은 노골적이고 현실적이며, 논리정연하고 목적과 계획이 확실한 사람들이 많았다. 예의와 배려를 중시하는 한국인이라면 깜짝 놀랄 일이 별일이 아니게 되는 나라였다. 배려 없고 무례하게 느껴지는 직설적인 언행, 지나치게 느껴지는 개인주의적 태도 뒤에는 독립적이고 진취적이며 주체적인 네덜란드 문화가 있었다.

​현재 KLM 네덜란드 항공 승무원으로 일하는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독자들도 낯선 네덜란드 문화를 엿볼 수 있기를 바란다며,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볼 줄 아는, 나아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는 삶을 기대하는 시작이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 ‘여책저책’은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세상의 모든 ‘여행 책’을 한데 모아 소개하자는 원대한 포부를 지니고 있습니다. 전문적인 출판사도 좋고, 개별 여행자의 책도 환영합니다. 여행 가이드북부터 여행 에세이나 포토북까지 어느 주제도 상관없습니다. 여행을 주제로 한 책을 알리고 싶다면 ‘여책저책’의 문을 두드려주세요.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