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조 아람코 주식 순식간에 완판… 건설업계, 네옴시티 기대감 솔솔

김남석 2024. 6. 3. 11: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7조원 상당의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주식 매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사우디 정부는 이번 매각 대금으로 신도시 네옴을 비롯해 인공지능(AI), 스포츠, 관광 등의 경제 다각화 프로젝트들을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우디는 석유 고갈에 대비해 이들 대형 프로젝트를 대거 추진하고 있는데, 이번 아람코 주식의 성공적인 매각을 통해 단기적인 자금 조달의 압박을 완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종업체보다 높은 배당 수익률
매각으로 자금 조달 압박 완화
[네옴시티 홈페이지 캡처]

17조원 상당의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주식 매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매각은 네옴시티 등 대규모 프로젝트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한 것이다. 아람코가 성공적으로 자금을 조달하면서 네옴시티 프로젝트 참여를 노려온 국내 건설업계에도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기대된다.

2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120억달러(약 16조6000억원) 상당의 아람코 주식 매각이 예약이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모두 팔렸다.

이날 예약이 시작되자마자 투자자 수요가 몰렸고, 26.70리얄(9800원)에서 29리얄(1만700원)의 가격대에서 판매된 아람코 주식 물량은 금세 동이 났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주문서에는 사우디 및 해외 투자자가 섞여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매수에 참여한 은행들은 오는 6일까지 기관 주문을 받아 다음날 주식 가격을 책정한다. 이어 9일부터 사우디 리야드 증시에서 이들 물량에 대한 거래가 시작된다.

이번 매각 대상 주식 수는 15억4500만 주로, 전체 지분의 0.64%에 해당한다. 사우디 정부는 옵션을 행사해 추가로 12억달러(1조6600억원)를 더 조달할 수 있다.

아람코 주식은 동종 업체들에 비해 높은 배당 수익률로 매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됐다.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현재 아람코의 배당 수익률은 6.6%로, 셰브런(4.2%), 엑손모빌(3.3%)보다 높다.

지난 2019년 아람코 기업공개 당시, 해외 투자자들은 대체로 밸류에이션(평가 가치)에 불만을 가졌다. 당시에는 사우디 내 투자자들이 주로 매수에 참여했다. 294억달러(40조7000억원) 상장에 약 147조원이 몰렸지만, 외국인 매수자에 배당된 주식은 23% 수준에 그쳤다.

현지 증시에 상장된 아람코 주가는 이날 1.9% 하락했다. 회사 시가총액은 약 1조8000억달러(2491조원) 수준이다. 아람코 주가는 블룸버그통신이 지분 추가 매각 의향을 처음 보도한 올해 초 이후 약 14% 하락했으며, 현재 1년여 만에 최저 수준으로 거래되고 있다.

사우디 정부는 아람코 주식의 82%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사우디 국부펀드인 PIF(Public Investment Fund)가 별도로 16%를 갖고 있으며, 나머지만 일반 투자자가 소유하고 있다. 사우디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지난 2021년 사우디 정부가 앞으로 더 많은 아람코 주식을 매각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번 매각은 아람코가 상장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주식 매각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사우디 정부는 이번 매각 대금으로 신도시 네옴을 비롯해 인공지능(AI), 스포츠, 관광 등의 경제 다각화 프로젝트들을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우디는 석유 고갈에 대비해 이들 대형 프로젝트를 대거 추진하고 있는데, 이번 아람코 주식의 성공적인 매각을 통해 단기적인 자금 조달의 압박을 완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완판으로 앞서 축소 계획까지 전해졌던 네옴에 대한 추진 기대가 높아지면서 관련 사업에 진출한 국내 건설업계의 기대감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네옴시티 프로젝트는 사우디 북서부 홍해 인근에 서울 44배 넓이의 저탄소 스마트 도시를 짓는 것으로, 총 사업비가 700조원에 달한다. 네옴 프로젝트 가운데 '더 라인'은 170㎞에 이르는 직선형 도시를 만드는 사업으로 국내 건설업계도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이 네옴시티 더 라인 프로젝트 일부를 수주해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김남석기자 kns@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