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전공' 2만8천명 늘어난다…외대 '116명→835명' 급증(종합)

고유선 2024. 5. 30. 14: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국립대 73곳, '전공자율선택제' 3만8천명 선발
신입생 10명 중 3명…서강대·경희대·이대 등 크게 늘어
의대 증원과 맞물려 '입시 변수'…"인기학과 쏠림 현상 우려"
서울교육청, 2024 대입 정시모집 설명회 개최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정부가 수도권 대학과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전공 자율선택제 확대를 추진하면서 이들 대학이 2025학년도 입시에서 3만8천명가량을 '자율전공'으로 모집하기로 했다.

자율전공 모집인원이 전년 대비 4배 가까이 늘어나면서 의과대학 증원과 맞물려 올해 입시에서 큰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긴급 분석'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수도권·국립대 3만8천명, '자율전공'으로 선발한다

교육부는 2025학년도 '전공자율선택제 중점 추진 대학'인 수도권 대학과 국립대(교대·특수목적대 제외) 총 73개교가 3만7천935명을 자율전공으로 모집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들 대학 총 모집인원의 28.6%이며, 전년 대비 2만8천10명 늘어난 규모다.

전공 자율선택제는 학생들이 입학 후에 흥미·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수험생의 전공 선택권을 보장하고, 대학 혁신을 유도하고자 교육부가 재정 지원과 연계해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수도권 소재 대학교 51곳의 경우 자율전공 모집인원이 2024학년도 7천518명(7.7%)에서 2025학년도 2만5천648명(29.5%)으로 급증한다.

국립대 22곳도 2천407명(4.5%)에서 1만2천287명(26.8%)으로 대폭 늘어난다.

교육부는 신입생이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 후 원하는 전공(보건·의료, 사범계열 제외)을 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형1', 계열·학부 등 광역 단위로 모집한 뒤 원하는 전공을 택하거나 학과별 정원의 150% 이상 범위에서 전공을 고를 수 있도록 한 '유형2' 등 2가지를 자율전공 방식으로 제시했다.

대학들은 이 가운데 '유형1'로 1만4천844명(11.2%)을, '유형2'로 2만3천91명(17.4%)을 뽑는다.

학교별로 살펴보면 한국외대는 자율전공 모집인원(유형1+유형2)이 116명에서 835명으로 700명 이상 대폭 늘어난다.

경희대는 406명(224명 증가), 서강대는 465명(124명 증가), 서울대는 546명(25명 증가), 연세대는 480명(92명 증가), 이화여대는 532명(124명), 중앙대는 389명(89명 증가)을 자율전공으로 선발한다.

기존에 자율전공을 시행하지 않던 대학들 가운데는 고려대가 196명, 성균관대가 280명, 한양대(서울)가 250명을 뽑는다.

'대입 전 고교입시부터 철저하게'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인기학과 쏠림' 우려…교육부 "전공 설계·탐색 지원하겠다"

교육계에서는 자율전공 확대와 관련해 기대와 우려의 시각이 교차하고 있다.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이 넓어질 수 있지만, 경영학과나 컴퓨터공학과 같은 이른바 '인기 학과' 쏠림 현상이 심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인기 학문이 고사하게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입생들이 1학년 때 소속감 없이 학교생활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고, 진로를 제대로 탐색하기에 1년은 짧은 시간이어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입시업계에서는 모집인원이 크게 늘어나는 만큼 전년도 합격선을 참고하기 어려운데다, 올해 의대 증원과 맞물려 자율전공이 입시에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

교육부는 대학들이 자율전공 확대에 따른 부작용을 줄일 수 있도록 우수 운영사례를 찾아 공유하고, 대학별 컨설팅단 구성·운영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자율전공을 이미 운영 중인 서울대의 경우 학교 평균 중도탈락률(1.9%)에 비해 자유전공학부 중도탈락률(1.8%)이 낮은 점 등을 고려하면 학생들이 적성·흥미에 맞는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제도의 취지를 충분히 살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효신 교육부 지역혁신대학지원과장은 "사회가 변하면서 학생들의 전공 선호도가 변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며 "문제는 적성과 흥미에 대한 고민 없이 인기학과에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율전공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대학은 (학교에) 상주 어드바이저가 진로 상담을 해주는 등 충실한 지원을 하고 있다"며 "이렇게 전공 설계·탐색을 지원한다면 막연하게 특정 전공으로 쏠리는 현상은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교협은 수험생·학부모 정보 제공을 위해 대입정보포털 '대학어디가'에 대학별 2025학년도 자율전공 모집 현황을 게시한다.

교육부는 유튜브와 블로그 등에 전공자율선택 대학생들의 경험담과 대학 운영 사례 등의 정보를 담은 영상·자료를 게재할 예정이다.

[그래픽] 2025학년도 자율전공 모집 규모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X(트위터) @yonhap_graphics

cindy@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