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2차 이전 ‘지지부진’…실현도 ‘막막’

엄기숙 2024. 5. 27. 21: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춘천] [앵커]

현 정부의 국정 과제 중 하나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2차 공공기관 이전입니다.

강원도는 일찌감치 32개 기관을 모셔온다며 유치추진단을 꾸리고, 지원 조례까지 만들고 있는데요.

반면, 정부의 계획 수립이 너무 굼뜨다는 지적이 이어집니다.

엄기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2007년 첫 삽을 뜬 원주 혁신도시.

건강보험공단과 한국관광공사 등 공공기관 12곳이 둥지를 틀었습니다.

지금은 기업이 330곳 넘게 들어왔습니다.

인구도 2만 9,000명으로 늘어 작은 군단위 인구와 맞먹습니다.

이 곳에서 거둬들인 지방세 수입이 지난해에만 520억 원에 달합니다.

[유지영/강원도 투자유치과장 : "지역소멸 위기에 맞닥뜨린 우리 도 입장에서는 절실한 생존의 문제입니다. 연관기업 유치,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 등을 통해 지역 발전을 선도할 수 있습니다."]

특히, 2차 공공기관 이전은 현 정부가 내건 국정과제였습니다.

사실상 시군마다 물밑 유치경쟁에 돌입한 상탭니다.

강원도는 이미 2년 전, 강원도의 환경, 농업, 안보와 관련된 32개 기관을 유치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

한국은행,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환경공단 등 기존의 산업과 연결고리가 큰 곳입니다.

이들을 모셔오기 위해 토지 매입비와 건축비 등을 지원하는 조례까지 만들고 있습니다.

[문관현/강원도의원/공공기관 유치 지원 조례 발의 : "바이오·디지털 헬스케어·자원·환경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는 방식으로 유치에 적합한 기관을 중점적으로 공략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작 정부의 추진 속도는 더디기만 합니다.

지난 국회의원 선거 무렵엔 지역 갈등을 이유로 계획 수립이 미뤄졌습니다.

최근에야, 다시 윤석열 대통령의 짧은 언급이 있었을 뿐입니다.

[윤석열 대통령/9일/취임 2주년 기자회견 : "경제·사회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데 지역의 특성, 산업, 경제의 특성, 이런 것들을 맞춰서…."]

현재 국토교통부는 1차 공공기관 이전 평가 용역을 하고 있습니다.

2차 이전 논의는 용역이 끝나는 올해 말에나 시작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엄기숙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엄기숙 기자 (hotpencil@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