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 내주 바이오USA 대거 출격…시장 확대 모색

나확진 2024. 5. 27. 16: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셀트리온·SK바이오·롯데바이오 등 참가

(서울=연합뉴스) 나확진 기자 =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다음 달 3일부터 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통칭 바이오USA)에 대거 참석한다.

미국 바이오협회 주관으로 세계 1천500개 이상 제약·바이오 기업과 2만 명 이상 업계 관계자·전문가들이 참석하는 이 행사에서 한국 기업들은 자사 제품과 개발 중 신약을 홍보하고, 사업 파트너를 찾을 예정이다.

특히 미국 의회에서 우시앱텍 등 중국 바이오기업과 거래를 제한할 수 있는 '생물보안법'(Biosecure Act) 제정을 논의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은 이번 행사를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등 분야에서 미국 시장 비중을 확대할 중요한 기회로 삼으려는 분위기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부스 이미지 [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2년 연속으로 단독 부스를 마련해 참가한다.

139㎡ 규모 부스에 콘텐츠 월(Contents Wall)과 LED 패널 등을 통해 내년 인천 송도에 준공되는 5공장을 포함한 세계 최대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과 고객 맞춤형 위탁개발(CDO) 플랫폼 서비스, 항체·약물 접합체(ADC) 포트폴리오 확장 등 경쟁력을 부각할 방침이다.

또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140개 이상의 배너를 샌디에이고 공항에서 전시장까지 이어지는 도로와 가로등에 설치해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는 한편, 부스 방문객에게는 종이 인쇄물 대신 QR코드를 통한 디지털 브로슈어와 친환경 기념품을 제공하는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 의지도 알릴 예정이다.

올해 초 셀트리온헬스케어와 통합 출범한 셀트리온도 비슷한 규모의 부스를 설치해 지난 3월 미국 전역에 출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짐펜트라(램시마SC)를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지난해 바이오USA 셀트리온 부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또 최근 유럽연합집행위원회로부터 품목허가를 받은 천식·두드러기 치료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옴리클로' 등과 관련해서도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파트너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사이언스는 공동 부스를 만들어 홍보에 나선다.

SK바이오팜은 미국에서 판매 중인 뇌전증 신약 '엑스코프리'(세노바메이트)와 회사의 글로벌 임상 전략 및 표적 단백질분해 기술(TPD) 등에 대해 발표하며, SK바이오사이언스는 독감, 대상포진, 장티푸스 백신 등 주요 제품과 현재 개발 중인 백신에 대해 소개하고 글로벌 사업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내년 가동을 목표로 증설 중인 미국 시러큐스 바이오캠퍼스 내 ADC 생산시설과 지난 3월에 착공한 인천 송도 바이오 캠퍼스 CDMO 시설 청사진을 적극적으로 소개할 방침이다.

차바이오그룹은 차바이오텍·CMG제약·차백신연구소 등 국내 3사의 개발 중 신약을 소개하는 부스와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시장 진출을 위해 미국 자회사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 부스를 각각 운영하며, 지씨셀은 '프라이빗 비즈니스 포럼' 구역에 전문 파트너링 부스를 마련해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이뮨셀엘씨주와 개발 중 신약, 세포 유전자치료제 CDMO 등과 관련해 글로벌 파트너링을 추진한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그룹 부스 조감도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은 항체의약품 전문기업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와 CDMO 기업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혁신신약 연구원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IDC 등 3개 사 합동 부스를 마련했고, 혁신 신약 연구개발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BBT-877(폐섬유증 신약 후보물질), BBT-207(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등 자사 개발 현황을 발표한다.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바이젠셀과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 기업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등도 각각 자사 사업 경쟁력을 알리고 파트너십을 논의할 계획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한국바이오협회 등 관련 협회도 각각 회원사 등 기업 지원에 나선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안전성평가연구소,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등과 공동 홍보관을 운영하며, '한국의 밤' 리셉션을 개최해 한국 기업과 국제적 제약·바이오 기업 교류 기회를 마련한다.

바이오USA에서 21년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공동으로 '한국관'을 운영하는 한국바이오협회는 올해 국고지원 대상 한국관 참가기업을 예년보다 50%가량 많은 26개로 확대했다고 전했다.

황주리 한국바이오협회 교류협력본부장은 "한국기술 자체에 대한 수요를 넘어 한국기업과 협업을 염두에 두는 해외기업들이 많다"며 "이 모멘텀을 십분 활용해 협력 기회를 잡을 수 있기를 바라며 협회도 물심양면으로 역할을 하겠다"라고 말했다.

ra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