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지난해 사회적가치 4조9845억원

김상범 기자 2024. 5. 27. 13: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지난해 4조9845억원의 ‘사회적 가치’(SV)를 창출했다고 27일 발표했다.

반도체 다운턴(하강 국면) 영향으로 지난해 사회적 가치 창출액은 2022년의 7조5845억원 대비 34% 감소했다.

사회적 가치는 이해관계자들이 당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완화하는 데 기업이 기여한 가치를 의미한다. SK그룹과 계열사들이 발표하는 사회적 가치는 크게 경제간접 기여성과, 환경성과, 사회성과 등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회사 측은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부진했으나 고대역폭메모리(HBM), DDR5 등 전력 효율을 극대화한 고성능 제품 개발을 통해 생산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줄이고, 협력사들과의 동반성장 활동을 통해 국내 반도체 생태계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한 결과, 관련 측정 항목에서는 의미 있는 실적을 거뒀다”고 밝혔다.

부문별로 보면 SK하이닉스는 지난해 경제간접 기여성과 5조452억원, 환경성과 마이너스(-)8258억원, 사회성과 7651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경제간접 기여성과는 납세액 감소의 영향이 커 2022년 대비 35% 줄어들었다.

환경성과는 전력 고효율 제품 개발, 온실가스 배출 총량 저감을 통해 부정적 영향이 전년 대비 21% 감소했다.

사회성과는 회사가 다운턴으로 투자 규모를 축소하면서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으로부터 구매한 금액이 줄어 전년 대비 9% 감소했다. 하지만 사회적기업을 통해 취약계층 지원에 힘쓰면서 ‘삶의 질을 개선하는 제품·서비스’ 항목에서 전년 대비 19% 증가했다.

사회적 가치 측정을 시작한 2018년부터 SK하이닉스의 6년간 성과 추이를 보면 업황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배당과 납세 영역을 제외한 사회적 가치 창출액은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이 기준에 따른 지난해 SK하이닉스의 사회적 가치 창출액은 3조9073억원으로 최대 영업 실적을 달성했던 2018년 2조7591억원 대비 42% 증가했다.

SK하이닉스는 국내 반도체 생태계 전반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역량을 높이기 위해 2022년부터 협력사를 포함해 사회적 가치 측정을 해오고 있다. 지난해에는 19개 협력사가 참여했고, 총 1조6074억원이 창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