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50% '껑충', 하이닉스 훨훨 나는데…'10만전자' 희망고문이었나

박수현 기자 2024. 5. 27. 11: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하이닉스 주가가 날아올랐다.

주가가 커플링(동조화) 현상을 보이는 엔비디아가 호실적을 기록한 뒤 1000달러를 넘기면서 종가 기준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영향이다.

이어 "엔비디아의 입장에서도 하이닉스만의 캐파(CAPA·생산 능력)로는 HBM 수요를 감당할 수 없어서 삼성전자가 연내에 들어갈 것이라고 본다. 그때가 되면 메모리 업황 자체는 좋으니 주가에는 반전이 일어나겠지만 시기의 문제"라며 "시기를 하반기라고 보고 있는데 그전까지는 인내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포인트
/사진=뉴스1

SK하이닉스 주가가 날아올랐다. 주가가 커플링(동조화) 현상을 보이는 엔비디아가 호실적을 기록한 뒤 1000달러를 넘기면서 종가 기준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영향이다. 증권가에서는 HBM(고대역폭메모리) 부문에서 경쟁력 우위를 지속하는 동안 주가가 꾸준히 강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본다.

27일 오전 10시55분 기준으로 유가증권시장에서 SK하이닉스는 전 거래일 대비 8900원(4.48%) 오른 20만7500원을 나타낸다. SK하이닉스는 이날 장중 20만9000원을 기록하며 1거래일 만에 52주 최고가를 경신했다. 올해 들어 코스피가 박스권에 갇혀있는 동안에도 주가는 50%대 올랐다.

SK하이닉스의 주가 강세는 엔비디아의 영향이다. AI(인공지능) 랠리를 이끈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는 지난 22일(현지시간) 장 마감 이후 호실적을 발표한 뒤 이튿날 9%대 급등세를 보였다. 엔비디아는 지난 24일에도 엔비디아는 전일 대비 26.7달러(2.57%) 오른 1064.69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핵심 공급망 업체로 꼽히면서 엔비디아의 주가와 커플링 현상을 보인다. 특히 HBM 부문에서 경쟁력을 갖췄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을 받는다. HBM은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현재 D램보다 데이터를 훨씬 빨리 처리할 수 있게 만든 반도체다.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인공지능(AI) 반도체의 핵심 부품으로 사용된다.

증권가에서는 HBM 부문에서 경쟁력 우위를 가진 SK하이닉스 주가가 계속해서 우상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는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목표가 25만원을 제시하며 "전 세계 AI(인공지능) 서버 인프라 투자 사이클이 진행 중인 가운데 엔비디아의 핵심 공급망 업체인 SK하이닉스의 수혜가 지속되며 주가 리레이팅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봤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도 "SK하이닉스는 최대 고객사향으로 HBM3E 8단 제품을 출하하기 시작했으며 12단 제품 역시 인증 과정을 거치고 있다. 업계에서 가장 높은 수율과 넓은 고객 베이스를 보유해 당분간 HBM 부문에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과 경쟁력을 유지할 것"이라며 "주가의 상대적 퍼포먼스는 HBM 부문에서의 경쟁력 우위가 지속됨에 따라 당분간 강세를 유지할 전망"이라고 했다.

반면 반도체 대장주인 삼성전자의 주가는 약세다. 이날 오전 11시36분 기준으로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700원(0.92%) 내린 7만5200원을 나타낸다.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 4월8일 8만6000원까지 오르면서 10만전자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지만 다시 7만원대로 내려앉으며 부진한 상황이다.

여기에 삼성전자의 최신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가 미국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납품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는 보도가 약세를 부추겼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24일 삼성전자 HBM의 발열 및 전력 소비가 문제가 돼 엔비디아의 품질 검증을 통과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의 HBM 테스트를 통과할 때까지 인내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본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삼성전자가 1등의 명성을 지킬 것이라고 기대했던 투자자들이 1년이 되도록 회복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고 지친 마음에 스위칭(종목 갈아타기)을 하는 것"이라고 평했다.

이어 "엔비디아의 입장에서도 하이닉스만의 캐파(CAPA·생산 능력)로는 HBM 수요를 감당할 수 없어서 삼성전자가 연내에 들어갈 것이라고 본다. 그때가 되면 메모리 업황 자체는 좋으니 주가에는 반전이 일어나겠지만 시기의 문제"라며 "시기를 하반기라고 보고 있는데 그전까지는 인내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박수현 기자 literature1028@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