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탑맥, `복합동박`을 연속 생산할 수 있는 설비 개발 및 출시

박용성 2024. 5. 27. 11: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식회사 탑맥(대표 이오준)은 Roll to Roll 초박막 필름 진공 증착 및 연속 동 도금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초장폭(1,350mm) 2차 전지 음극 집전체용 '복합동박'을 연속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개발하고 국내 고객에 납품했다고 27일 밝혔다.

탑맥 이오준 대표이사는"이달부터 국내 및 중국 유수의 2차 전지 소재 부품 및 동박 관련 고객들의 직접적인 현장 방문이 연이어 확정되어 있어 점차적으로 복합동박이 2차 전지 집전체 시장에서 새로운 가능성과 활력을 불러 일으킬 것이라 확신했다. 나아가 탑맥의 기술력으로 완성되는 하이엔드 복합동박 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술력이 세계 시장에서 으뜸이 되어 사회에 도움이 되는 기업이 되겠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탑맥

주식회사 탑맥(대표 이오준)은 Roll to Roll 초박막 필름 진공 증착 및 연속 동 도금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초장폭(1,350mm) 2차 전지 음극 집전체용 '복합동박'을 연속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개발하고 국내 고객에 납품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장치는 1,350mm 폭과 최소 두께 2.5㎛(1마이크로미터(㎛) = 100만 분의 1미터) 초박막 필름을 Roll to Roll 이송하여 연속 증착이 가능한 PVD 진공증착기(RS-serise)와 동일 필름에 대해 연속 양면 동(Cu)-도금이 가능한 장치(RP-series)이다.

지금까지 10㎛ 이하 박막 필름에 대한 Roll to Roll 연속 도금은 폭 기준 500mm가 한계였으나 탑맥의 기술력으로 1,350mm를 실현하게 된 것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세계 최대 폭 공정 사례이다.

'복합동박'이란 2차 전지 음극 집전체인 기존 동박이 가진 단점을 보완하는 대체품으로 현재 100% 구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기존 동박과 달리 PET, PP, PI와 같은 폴리머 필름에 양면 증착하여 동 도금하는 형태로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뿐 아니라 발열이 적고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 동박 대비 50% 이상 동(Cu)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소재 비용과 더불어 배터리 무게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어 수많은 기업이 오래전부터 관심을 갖고 개발을 진행해 왔음에도 생산이 검증된 장비의 부재로 실제로는 양산이 실현되지 못했던 고난이도 제품이다.

이번 개발 장치로 생산되는 복합동박은 약 4~6㎛ PET, PP, PI 등의 박막 폴리머 필름에 양면 1㎛ 동 도금 형성되는 구조로(구리-폴리머-구리) 약 6㎛~8㎛ 두께의 동박 필름을 15,000m 연속 생산 검증하였고, 특히 두께 균일도와 전기적 특성 및 핀홀 등 외관 품질과 인장강도, 연신율과 같은 기계적 품질도 기존 동박과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결과를 보여준다고 한다.

탑맥은 지난 십수 년간 박막 증착 기술 및 인쇄 전자 부품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했던 이엔에이치(E&H) 이오준 대표이사가 설립한 후 짧은 시간에 핵심 기술인력을 구성하여 공정 기술을 확보하고 단숨에 세계 최대 면적의 진공 증착 기술과 도금 장치 개발을 성공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관련 기술 특허만 해도 국내 등록 6건, 해외 등록 4건, 국내 출원 2건 등 총 12건에 달한다.

탑맥 영업 담당자는 "Global 2차 전지 동박 필름 시장 중 복합동박의 수요와 관심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시점에서 탑맥이 시장 선도의 기회를 잡게 되었고, 폭발적인 물량 대응을 위해서 중국 현지 생산 공장(천진)을 확보했다"고 전했다.

탑맥 개발 담당자는 "복합동박 개발 성공을 위해 수없이 많은 실패와 노력을 했으며, 특히 기존 동박 제품이 초 박막화 되면서 기계적 특성과 소재, 공정의 한계로 배터리 생산라인에서 불량 원인 제공과 가격적으로도 매력이 낮아지고 있었지만 이번에 개발된 복합동박의 개선된 품질을 이용하면 기존 동박의 단점을 대부분 해소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탑맥 이오준 대표이사는"이달부터 국내 및 중국 유수의 2차 전지 소재 부품 및 동박 관련 고객들의 직접적인 현장 방문이 연이어 확정되어 있어 점차적으로 복합동박이 2차 전지 집전체 시장에서 새로운 가능성과 활력을 불러 일으킬 것이라 확신했다. 나아가 탑맥의 기술력으로 완성되는 하이엔드 복합동박 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술력이 세계 시장에서 으뜸이 되어 사회에 도움이 되는 기업이 되겠다"고 전했다.

박용성기자 dragon@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