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익 응시자 평균 점수 677점… 중국·일본보다 100점↑

김유나 2024. 5. 27. 09: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한국 토익(TOEIC) 응시자들의 평균 성적은 677점으로 집계됐다.

27일 교육·평가 전문 그룹 YBM 산하 한국TOEIC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응시자들의 토익 평균 성적은 677점으로(990점 만점), 성적 분석 대상 44개국 중 16위, 아시아 국가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토익 평균 성적이 가장 높은 국가는 레바논으로, 평균 834점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 토익(TOEIC) 응시자들의 평균 성적은 677점으로 집계됐다. 

27일 교육·평가 전문 그룹 YBM 산하 한국TOEIC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응시자들의 토익 평균 성적은 677점으로(990점 만점), 성적 분석 대상 44개국 중 16위, 아시아 국가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서울 용산구 선린인터넷고등학교에서 토익 시험 응시생들이 시험을 마치고 귀가하고 있다. 뉴시스
토익 평균 성적이 가장 높은 국가는 레바논으로, 평균 834점이었다. 이어 ▲2위 독일(819점) ▲3위 벨기에(784점) ▲4위 코스타리카(777점) ▲5위 인도(776점) 순이었다. 

아시아권 국가 중에서는 ▲1위 레바논(834점) ▲2위 인도(776점) ▲3위 요르단(702점) ▲4위 필리핀(690점) ▲5위 한국(677점) 순으로 확인됐다. 이외 아시아 국가들의 경우 중국 571점, 대만 566점, 일본 561점 등으로 인접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이 100점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익 응시 목적은 ‘졸업’이 28.2%로 가장 많았다. 또 ▲학습(28.1%) ▲취업(24.1%) ▲승진(10.0%) ▲언어 연수 성과 측정(9.7%) 등이 뒤를 이었다. 응시 목적별 평균 성적은 ‘취업’이 637점으로 가장 높았고, ▲학습 612점 ▲졸업 588점 ▲언어 연수 성과 측정 585점 ▲승진 565점 순이었다.

전 세계 토익 응시자들의 연령대는 ▲21~25세 43.8% ▲20세 이하 21.3% ▲26~30세 14.6% 순으로 10~20대가 전체의 79.7%를 차지했다. 응시자 성별은 남성 50.2%, 여성 49.8%로 성비는 비슷했다.

토익은 전 세계 160여 개 국가, 14000여 개 기업 및 기관에서 채용, 인사고과, 직원의 영어 역량 강화 등을 위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지난해 토익 응시자의 평균 응시 횟수는 1∼2회로, 응시자의 63%가 연간 1회 토익 시험에 응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회 응시 19%, 3회 이상 18.0%였다. 

국내 토익 응시료(4월 기준)는 4만8000원으로 토익 시행 주요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응시료는 아랍에미리트 31만원, 프랑스 25만원, 그리스 22만원, 스페인 20만원, 포르투갈 20만원 등이었다. 아시아 국가의 경우 중국 15만원, 홍콩 14만원, 베트남 8만원, 일본 7만원으로 확인됐다.

세종=김유나 기자 yo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