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선수까지 출동한 STS 농구 캠프, 이틀간의 여정 성공적으로 마무리

조영두 2024. 5. 27. 08: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TS 농구 캠프가 이틀간의 여정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25일과 26일 서초 종합 체육관에서 'STS 농구 캠프(SOUL TO SEOUL BASKETBALL CAMP)'가 열렸다.

STS 농구 캠프는 NBA 레벨의 스킬 트레이닝과 훈련을 경험할 수 있도록 개최한 트레이닝 캠프다.

STS 농구 캠프는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점프볼=조영두 기자] STS 농구 캠프가 이틀간의 여정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25일과 26일 서초 종합 체육관에서 ‘STS 농구 캠프(SOUL TO SEOUL BASKETBALL CAMP)’가 열렸다.

STS 농구 캠프는 NBA 레벨의 스킬 트레이닝과 훈련을 경험할 수 있도록 개최한 트레이닝 캠프다. 과거 전주 KCC(현 부산 KCC)의 코치이자 현재 일본 B.리그 B3 도쿄 하치오지 사령탑인 타일러 가틀린 감독이 오랜만에 한국을 찾았다. 프로 스킬 트레이너이자 GIG 스포츠 에이전트인 제임스 블랙번 디렉터도 함께 했다. 여기에 이규섭 스포티비 해설위원, 3PS 퍼포먼스 대표 강성우 박사, 용인 삼성생명 이주한 인스트럭터까지 뭉쳤다.

STS 농구 캠프는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첫 날은 공격, 둘째 날은 수비에 중점을 뒀다. 5명의 코치가 힘을 합쳐 NBA 수준의 스킬 트레이닝 프로그램, 현대 농구 오펜스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리드 앤 리액트 드릴을 전수했다.

이규섭 해설위원은 “미국에서 하던 대로 캠프가 진행됐다. 사전에 코치들끼리 스케줄 미팅을 통해 훈련지를 만들어 놨다. 미국 프로팀은 무조건 훈련지를 만들어서 어떤 훈련을 누가할지 다 정해놓는다. 학생들이 좋아하는 5대5 경기보다 기본기 트레이닝이 시간을 많이 할애했다. 첫 날은 스페이싱을 활용한 공격 위주의 훈련이 진행됐다. 둘째 날에는 조개 모양을 뜻하는 수비 쉘 드릴을 알려줬다. 마지막에는 픽업 게임까지 했다”며 이틀간의 캠프를 돌아봤다.

이번 캠프에는 특별한 손님들이 방문했다. 25일에는 최근 현역 은퇴를 선언한 양우섭(전 SK)이 코치로 참여했고, 일본 B3 소속 가나자와 사무라이즈에서 뛰었던 박세진이 학생들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줬다. 26일에는 이현중, 두경민(DB), 이관희(LG)가 현장을 찾아 학생들과 훈련을 함께 했다. 김시래(DB), 문성곤(KT), 이원석(삼성)도 후배들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첫 날 양우섭이 와서 코치 역할을 함께 해줬다. 박세진은 그동안 본인이 경험했던 것들을 편지로 적어서 학생들에게 읽어줬다. 둘째 날 오전에는 이관희가 훈련에 동참했고, 오후에는 이현중, 두경민이 훈련을 함께 했다. 김시래, 문성곤, 이원석도 현장을 찾았다. 프로선수는 학생들에게 동경의 대상이 아닌가. 아마 큰 동기부여가 됐을 거다. 취지를 알고 함께 해준 선수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하고 싶다.” 이규섭 해설위원의 말이다.

STS 농구 캠프의 열기는 시작 전부터 뜨거웠다. 유료 캠프였음에도 중등부는 일찌감치 마감이 됐다. 용산중을 비롯한 몇몇 학교들을 팀 훈련 시간을 빼서 캠프에 참가하기도 했다. 김해, 마산, 광주 등 지방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찾았다고 한다. 농구 유망주들은 이틀 동안 소중한 추억을 안고 돌아갔다.

이규섭 해설위원은 “농구를 좋아하는 학생들을 보면서 소중하고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아침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진행되는 일정이라 힘들긴 했다. 목이 다 쉬었다(웃음). 내가 생각하는 최고의 존중은 최선을 다해 가르쳐주는 거라 생각했다. 학생들 덕분에 나도 즐거운 주말을 보낸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한국에서도 이런 캠프가 많이 열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미국 코치들이 주가 되어서 진행됐기 때문에 선진 문화를 경험할 수 있었고, 학생들의 만족도 또한 굉장히 높았다. 나에게 고맙다는 메시지를 보내주기도 했다. 학생들이 좋은 시간을 보냈다고 하는데 오히려 내가 더 소중한 시간을 보낸 것 같다”고 덧붙였다.

# 사진_이규섭 해설위원 제공

Copyright © 점프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