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자궁근종, 비수술 하이푸 치료 가능할까요?

최동석 2024. 5. 27. 08: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이닥 의학기자 최동석 원장ㅣ출처: 하이닥

최근 한 TV 프로그램에 나온 여성 연예인의 사연이 화제입니다. 어렵게 찾아온 아이를 소중히 품고 있는 와중, 임신 전부터 있던 2.5cm 자궁근종이 네 달 새 11cm로 자란 것입니다. 그녀는 아이에 대한 미안함과 걱정에 눈물을 보였습니다.

임신·출산 전 과정을 간섭하는 ‘자궁근종’
자궁근종은 자궁 근육층, 바깥쪽, 내막 등 다양한 위치에 나타나는 양성 혹으로 가임기 여성 세 명 중 한 명이 겪는다고 알려질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근종이라는 양성종양은 대부분 암은 아니어서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여러 가지 불편함을 통해 삶의 질을 떨어뜨리거나 임신을 방해해서 난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근종은 발병 초기에는 통증이나 출혈 등의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병변이 커지거나 자궁내막에 가까운 위치일 경우 생리통이나 골반통, 성교통과 같은 각종 통증, 생리과다나 부정출혈과 같은 각종 출혈, 빈뇨나 잔뇨감, 요통과 같은 각종 골반 압박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자궁근종은 임신 및 출산과 밀접하게 관련돼 전 과정을 간섭하고 괴롭힙니다.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자궁근종|자료제공 : 최상산부인과

1. 착상방해로 인한 난임
어떤 위치에 있는 자궁근종이라 하더라도 크기가 크다면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점막 하 근종은 수정란이 착상되어야 하는 자궁 내막에 변형을 주어 수정란의 착상을 방해하여 임신에 영향을 미치며 난임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2. 임신 중 극심한 고통
자궁근종은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발생하거나 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에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커질 수 있습니다. 임신으로 인한 자궁환경 변화로 자궁근종에 공급되는 혈류가 변화하면서 세포 괴사가 발생하여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임신 유지 방해 및 자연분만 불가
자궁근종이 있는 상태에서 임신을 하면 자궁근종으로 인한 자궁내막의 약화와 과도한 출혈 등으로 임신이 유지되지 못하고 유산이나 조산할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자궁근종의 위치에 따라서 출산 시 자연분만이 불가하여 제왕절개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수술 하이푸라도 임신 중엔 치료할 수 없어

간혹 임신 전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임신 중 자궁근종이 커진 환자분들이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하이푸는 비수술적 치료이니까 임신 중이어도 치료할 수 있지 않나요?”입니다. 하이푸는 비수술적 치료로 개복수술을 하지 않고 신체 외부에서 전달하는 에너지로 자궁근종을 치료하는 최소침습∙비침습적 방법이기 때문에 충분히 하실 수 있는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수술적 처치를 하지 않는’ 치료이지 자연치료, 치유의 의미와는 다릅니다.

하이푸란 고강도의 초음파를 환부의 한 점에 집중시켜, 발열 혹은 기계적 효과를 유발해 종양의 괴사를 일으키는 치료 방법입니다. 자궁근종 조직 온도를 순간적으로 상승시켜 조직의 괴사, 탈락, 소멸, 축소를 유도하며, 침윤과 증식 그리고 전이를 감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고강도의 초음파 에너지는 자궁 및 태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태아를 품고 있는 임신 중에는 하이푸 치료는 시행할 수 없으며, 하이푸 시술 전에는 임신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고 시행하게 됩니다.

하이푸 치료뿐 아니라 로봇 수술, 복강경 등 임신 중에는 자궁 근종을 치료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렇기에 가능하다면 임신 전 자궁근종 여부를 확인하고, 자궁근종이 있다면 치료를 선행하는 것이 임신 및 출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못한 채 임신이 되었다면 주기적으로 산부인과에 방문하여 혹의 상태 및 크기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궁근종 치료는 출산 후 7~8주, 주치의 상담은 필수
출산 후에는 수술적 방식인 로봇 수술, 복강경 수술이나 비수술적 방식인 하이푸 등으로 자궁근종의 치료가 가능합니다. 단, 임신기간 동안 부어오르고 커진 자궁이 임신 전의 크기와 상태로 충분히 돌아온 후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기간은 보통 출산 후 7~8주가 됩니다. 그러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자궁의 회복 속도와 신체적 건강 상태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주치의의 면밀한 확인이 선행되어야 하겠습니다.

글 = 하이닥 의학기자 최동석 원장 (산부인과 전문의)

최동석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hidoceditor@mcircle.biz (전문가 대표메일)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 ㈜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하이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