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부분 휴경’부터 ‘전략작물’까지…벼 감산 ‘속도’

조휴연 2024. 5. 27. 07: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쌀 소비 감소,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이에 맞춰 다양한 쌀 감산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데요.

정부의 전략작물직불제에 이어, 강원도 최대의 쌀 생산지인 철원에선 올해 처음으로 '부분휴경제'까지 도입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초록빛으로 채워져 가는 들녘.

줄을 맞춰 벼가 빼곡히 심겨 있습니다.

그런데, 모양이 다른 논이 군데군데 발견됩니다.

마치 이가 빠진 듯 열 줄 건너 한 줄씩 모 줄이 빠져 있고, '디귿'자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빈 논도 있습니다.

논 전체를 비우는 전통적인 방식의 '휴경'이 아니라 일정 구역만 비워놓는 '부분 휴경'을 한 겁니다.

[이희종/철원군 농업기술과장 : "원천적으로 보면은 쌀의 수량, 재배면적을 줄여야지 이것들이(쌀값 안정화) 이뤄진다고 생각하거든요."]

철원군이 올해 처음 도입한 쌀 감산정책으로, 휴경지 1제곱미터당 750원씩 보상금을 줍니다.

지역 전체 농가의 4%가 동참했습니다.

[김원석/부분휴경제 신청 농민 : "휴경하는 부분은 휴경하는 부분 나름대로 소득이 있는 거고 제 나름대로 농사짓기 위해서 편리성을 위해서 부분휴경을 하는 거니까."]

논에 벼 대신, 콩이나 옥수수같은 밭 작물을 심도록 장려하는 '전략작물직불제'도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첫해인 지난해 감축 목표인 논 면적 1,270제곱킬로미터는 거의 다 채웠고, 올해는 감축 면적을 더 늘리기로 했습니다.

[유형종/강원도 식량산업팀장 : "잡곡 사업과 연계해 가지고, 올해 3억 4,000만원 정도의 사업비를 투자해가지고 지급중이고, 내년에는 전략작물직불사업과 연계해가지고 확대에서 지원할 계획입니다."]

농민들은 휴경이나 전략작물 재배 면적을 더 늘리려면, 소득 보전 규모를 확대하고 전략작물의 판로 또한 다양화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조휴연 기자 (dakgalbi@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