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리포트] 평범한 듯 특별한 '무탠다드'에 홀린 '홍대 패피'

연희진 기자 2024. 5. 27. 06:2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 - 무신사의 이유 있는 성장] ③ [르포] 화제의 '무신사 스탠다드' 직접 가보니
[편집자주] 신발 커뮤니티에서 국내 대표 패션 플랫폼으로 도약한 무신사의 성장 잠재력이 높게 점쳐진다. 이미 젊은 남성 패션을 장악하고 여성, 글로벌, 오프라인까지 공략하고 있다. 인수·합병(M&A)은 물론 자체 브랜드(PB)까지 모두 성공하며 국내 첫 유니콘 패션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누적 투자 유치액만 4300억원에 이르는 무신사의 '연타석 홈런'은 현재 진행형이다.

무신사 스탠다드 홍대점은 무신사 스탠다드의 1호점이다. /사진=무신사
'젊음의 거리' 홍대 메인거리에 비교적 차분하고 모던한 매장이 있다.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트렌디함을 잃지 않는 '무신사 스탠다드'의 1호점이다. 이곳은 월평균 10만명이 찾는 홍대의 쇼핑 스폿이다.

지난 20일 찾은 무신사 스탠다드 홍대는 평일인 월요일임에도 찾는 사람이 많았다. '힙'한 패션의 젊은 층만 있을 거란 예상과 달리 다양한 연령, 성별, 국적의 소비자로 북적거렸다. 출근룩을 사러 온 직장인부터 고프코어룩을 둘러보러 온 대학생, 세련된 분위기에 매장에 발을 들인 외국인까지 볼 수 있었다.

무신사 스탠다드는 무신사가 2017년 론칭한 캐주얼웨어 자체 브랜드(PB)다. 좋은 품질의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대로 선보인다는 방침으로 운영하고 있다. 론칭 이후 군더더기 없는 디자인에 호평이 쏟아졌고 온라인뿐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제품을 체험하고 싶다는 니즈가 커졌다. 무신사는 이를 반영해 2021년 5월 홍대에 첫 오프라인 스토어를 열었다.

1000여개의 상품을 선보이는 무신사 스탠다드 홍대점은 판매도 판매지만 브랜드 정체성에 더욱 집중하는 매장이다. 외관부터 디자이너 쇼룸과 같은 분위기를 풍긴다. '평범한 듯 특별하게'를 지향하는 브랜드답게 깔끔하면서 디테일이 돋보인다.



다채로운 상품, 특별한 공간, 다양한 고객


평일 낮임에도 쇼핑하는 사람이 적지 않은 무신사 스탠다드 홍대점. /사진=연희진 기자
매장에 들어서는 순간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향기롭다'다. 상쾌한 향이 공간을 감싸며 분위기를 조성한다. 지하 1층부터 지상 2층까지 관통하는 중앙의 미디어 타워는 이번 캡슐 컬렉션인 시티 레저의 화보로 빛난다. 포커스존으로 구성된 1.5층에서는 주요 아이템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거울과 조명이 인증샷을 남기기 좋게 만들어져 여기저기서 '찰칵' 소리가 들렸다.

인증샷을 찍던 대학생 이모씨에게 말을 걸었다. 친구와 함께 매장을 찾았다는 그는 "기본 아이템이 많고 색상도 예쁘게 나오는 것 같다"며 "시티 레저 컬렉션을 직접 입어보고 싶어서 홍대에 왔다가 들렀다"고 말했다.

무신사 스탠다드 홍대에 외국인 고객이 쇼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희진 기자
라이브 피팅룸도 무신사 스탠다드의 특별한 포인트다. 상품을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경험할 수 있는 체험형 피팅 공간이다. 스마트폰 거치대와 조명이 설치됐다. 이곳에서 역시 인증샷을 남기는 사람들이 많았다.

무신사 스탠다드 매장을 방문하기 위해 홍대에 들렀다는 직장인 박모씨는 "디자인, 품질, 가격대 모두 '적당하다'고 생각한다"며 "회사에 입고 다닐 슬랙스와 셔츠를 살 예정"이라고 말했다.

외국인 고객도 적지 않았다. 약 1시간 동안 매장을 둘러봤을 때 10여명의 외국인 고객을 볼 수 있었다. 홍대점의 외국인 매출 비중은 24%에 달한다. 싱가포르 관광객인 비비안은 홍대를 걷다가 매장 외관이 눈에 띄어 구경을 왔다고 했다.

무신사 스탠다드의 라이브 피팅룸. /사진=무신사
무신사 스탠다드 오프라인 사업 담당자는 "대형 미디어월이나 라이브 피팅룸 등 고객들이 매장 내에서 포토 스폿으로 활용 가능한 요소들을 배치해 자연스럽게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리뷰와 사진이 확산하고 있다"며 "무신사 스탠다드 오프라인 스토어의 시그니처 향인 미스틱 우드 향을 활용해 감각적인 브랜드 경험을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무신사 PB' 넘어 독립 패션 브랜드로 도약


무신사 스탠다드 홍대점에서 고객들이 피팅을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사진=연희진 기자
무신사 스탠다드는 무신사 성장의 핵심 축이다. 무신사의 지난해 매출은 9931억원으로 1조원에 육박한다. 이 가운데 무신사 스탠다드 매출은 2500억원대로 추정된다. 론칭 당시 남성 라인으로 시작해 초기엔 남성 고객 비중이 절반 이상이었으나 지금은 남성과 여성의 매출이 비슷하다.

오프라인 매장이 증가하면서 고객은 더욱 늘어났다. 10호점까지 오픈한 무신사 스탠다드 매장의 총 누적 방문객 수는 700만명 이상이다. 수도권 이외 첫 번째 매장으로 대구에 선보인 '무신사 스탠다드 동성로'는 오픈 첫날 하루 매출 1억원을 돌파했다.

깔끔하고 모던한 분위기의 옷을 판매하는 무신사 스탠다드. /사진=연희진 기자
무신사 스탠다드는 2024년을 오프라인 확장의 원년으로 삼아 다양한 상권에서 신규 매장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지난 3월 오픈한 명동점 이후부터는 국내 대형 유통사가 운영하는 쇼핑몰 및 백화점에 숍인숍(shop-in-shop)으로 입점해 매장을 빠르게 넓히는 데에 주력한다. 현재 갤러리아백화점 광교점 입점도 논의하고 있다.

숍인숍 매장은 그동안 무신사 스탠다드 오프라인 스토어를 방문한 적이 없거나 브랜드 경험이 없는 고객층까지 다양하게 만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오프라인 단독 스토어와 비교해 입점 추진부터 실제 매장 오픈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무신사 스탠다드 관계자는 "장기적으로는 무신사 스탠다드만의 경쟁력과 정체성을 강화해 무신사의 자체 브랜드를 넘어 하나의 독립된 패션 브랜드로서 고객분들께 인식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연희진 기자 toyo@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