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우주시대 열 본부, 이륙 준비 마쳤다

박건희 기자 2024. 5. 27. 0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사천시 해안산업로 537번지.

드넓은 바다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이곳에 한국 우주 정책을 총괄할 우주항공청(KASA·우주청)이 문을 연다.

27일 우주청이 문을 열면 초기 인력 100여명이 이곳에서 근무를 시작한다.

개청일에 맞춰 우주항공청장을 비롯해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55명의 공무원이 우주청으로 투입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2일 경남 사천시 우주항공청에서 현판식이 열렸다. 우주항공청은 27일 개청한다. 사진은 현판식이 걸린 22일 우주항공청의 모습. /사진=뉴스1 (우주항공청 제공)

경남 사천시 해안산업로 537번지. 드넓은 바다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이곳에 한국 우주 정책을 총괄할 우주항공청(KASA·우주청)이 문을 연다.

개청까지 7일 남겨둔 지난 20일, 우주청은 리모델링 작업에 한창이었다. 우주청은 아론비행선박사업 사옥이었던 9층 건물 중 아론비행선박이 사용하는 2층을 제외한 모든 층을 쓰게 된다. 전용 면적은 4860㎡다. 3~4층에는 항공 혁신, 우주과학탐사, 인공위성, 우주 수송 부문 등 우주청의 핵심 4개 부서가 입주한다. 우주청을 지휘할 우주청장실, 차장실, 우주항공임무본부장실은 7층에 자리한다.

이곳은 우주청 본 청사가 생기기 전까지 사용할 임시청사다. 임대차 계약 기간은 2년이다. 하지만 실제 임대 기간은 더 길어질 전망이다. 이재형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장은 "본 청사 후보지를 찾고 건물을 짓다 보면 몇 년은 더 걸릴 것"이라며 "짧으면 3년, 길게 보면 5년 정도 소요될 것 같다"고 말했다.

4층 중간옥상에서 바라본 사천앞바다. 건물 정면 기준 오른쪽엔 사천 비행장이 위치해 있어, 산 너머에서 비행기가 이륙하는 모습도 지켜볼 수 있다. /사진=박건희 기자

27일 우주청이 문을 열면 초기 인력 100여명이 이곳에서 근무를 시작한다. 우주청은 연말까지 목표 인원 300명을 채운다는 계획이다.

개청일에 맞춰 우주항공청장을 비롯해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55명의 공무원이 우주청으로 투입된다. 5월 넷째 주 주말 전후로 대부분의 직원이 경남 사천, 진주 일대로 거처를 옮긴다. 과기정통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우주청 직원을 위한 임대주택을 준비했다. 총 230~240채 임대 주택을 마련해 희망자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가 마련한 용현휴먼시아 아파트는 우주항공청 임시청사에서 차량으로 약 15분 떨어진 거리에 있다. KAI(한국항공우주) 본사 바로 앞에 위치한 삼정그린코아 포레스트 아파트에서 청사까지는 차량으로 10분 걸린다. 우주청까지의 대중교통편은 두 곳 다 여의치 않은 편이다. 버스 편이 있지만, 편도 1시간이 소요된다. 수가 많진 않지만 아파트 주변으로 각종 식당, 카페, 빵집 등이 들어서 있다. 항공우주박물관과 사천 항공우주과학관도 바로 근처다.

우주항공청 직원 거주 지원책/그래픽=이지혜


멀고 먼 '사천 가는 길'은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다. 서울역 출발 기준, 자동차 운행으로 사천까지 도착하는 데 약 5시간 걸린다. 기차를 타도 약 4시간 걸린다. KTX를 타고 진주역에 내린 뒤 약 30분간 차를 타고 이동해야 한다. 진주 사천 완행버스가 있긴 하지만, 진주역에서 임시청사 근처까지 2시간 정도 걸린다. 김포공항과 사천공항을 왕복하는 비행편은 하루 2회다.

경남도는 교통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안을 내놨다. 경남도는 "사천과 진주 사이를 1일 8회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신설하고, 주요 도시를 다니는 시외버스 노선에 임시청사 정거장을 추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진주시와 임시청사 사이엔 1일 12회 셔틀버스(DRT)를 운행한다.

하지만 전국 단위 KTX 추가 개통과 항공편 증설은 확정된 개선책이 없다. 경남도는 서울과 사천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이른바 '사천우주항공선'을 신설하겠다는 계획이지만 국토부와의 협의가 필요하다. 이재형 단장은 "정부청사가 처음 세종으로 이전했을 당시, 도로엔 먼지가 날리고 곳곳에서 공사를 진행 중이었다"며 "우주청이 출범하면 지자체와 함께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