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서 하나된 아홉가지 몸짓

이지윤 기자 2024. 5. 27.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큰물이 한줄기로 빨려드는 듯한 음악이 시작되자 11명의 무용수가 서서히 바닥에서 피어올랐다.

이 중 둥글게 말린 등허리를 발끝까지 천천히 뻗던 두 무용수가 서로의 몸을 타고 끈덕지게 맞붙기 시작했다.

다음 달 7∼9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선보이는 '인잇'은 무용수 각자의 몸에 내재된 고유한 역사를 60분간 춤으로 풀어내는 작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현대무용단, 9개국 출신 무용수들 호흡 ‘인잇’ 내달 선보여
‘인잇’에는 한국인, 싱가포르계 중국인, 일본계 프랑스인 등 총 9개국 출신 무용수 11명이 참여해 각자 몸에 깃든 역사와 춤의 본질을 표현한다. 서로 다른 문화 배경에서 비롯된 개성적인 움직임이 돋보인다. 국립현대무용단 제공
큰물이 한줄기로 빨려드는 듯한 음악이 시작되자 11명의 무용수가 서서히 바닥에서 피어올랐다. 이 중 둥글게 말린 등허리를 발끝까지 천천히 뻗던 두 무용수가 서로의 몸을 타고 끈덕지게 맞붙기 시작했다. 라오스에서 전통춤을 전공한 누트나파 소이달라가 손동작을 뱀처럼 감아내며 다툼과 애착의 이미지를 동시에 구현했다.

9개국 출신 무용수들이 참여하는 국립현대무용단 신작 ‘인잇’의 연습 현장을 20일 찾았다. 다음 달 7∼9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선보이는 ‘인잇’은 무용수 각자의 몸에 내재된 고유한 역사를 60분간 춤으로 풀어내는 작품이다.

김성용 단장
이날 서울 서초구 국립예술단체 공연연습장에서 진행된 연습은 안무 구성에 대한 질의응답으로 시작됐다. 작품을 안무한 김성용 국립현대무용단장을 포함해 모든 구성원은 영어로 소통한다. ‘각 사람은 저마다의 우주를 이룬다’는 김 단장의 표현처럼 이들은 언어를 인식하고 몸으로 옮겨 담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는 “다양한 문화가 두 달 넘게 상호 작용하며 완성된 안무”라며 “충돌과 조화의 반복으로 인해 까다로운 과정이었지만 그 결과물은 유일무이하다”고 말했다.

공연에는 한국인 2명을 비롯해 일본, 베트남, 싱가포르 등 아시아 각국 출신의 무용수들이 출연한다. 이들은 언뜻 보면 출신지를 가늠하기 힘들 만큼 닮았지만 기본 테크닉을 구사하는 방법부터 천차만별이다. 김 단장은 “각자 몸에 내재된 속성이 신기할 만큼 같고 다르다. 비슷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무용수들의 경우 손끝, 발끝에 힘을 싣는 방법 등 미세한 동작에서 공통점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작품은 국립현대무용단이 지난해 발표한 ‘DMAU 프로젝트’의 첫 작품으로 기획됐다. 아시아 현대무용의 허브가 되는 것을 목표로 내건 프로젝트다. ‘인잇’은 초연 후 해외 공연도 염두에 두고 있다. 무대 디자인은 평창 겨울올림픽 개회식 아트디렉터로 참여한 유재헌이 맡아 마크 로스코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은 무대를 꾸민다. 간결하면서도 긴장감 높은 음악은 밴드 ‘악어들’의 유지완이 만들었다.

무용수들은 이번 공연을 통해 자신의 문화적 뿌리를 들여다보는 기회를 얻었다. 서로의 같고 다름으로부터 얻은 에너지를 관객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일본계 프랑스인 앙주 히로키는 “내 안에 상반되는 두 가지 속성이 있음을 느꼈다. 부드러우면서도 끓어오르는 느낌을 표현하고자 고민했다”고 말했다. 홍콩 출신 무용수 제이슨 옙은 “함께 밥을 먹고 연습하며 경험한 사랑과 보살핌의 에너지를 공연에 담아낼 것”이라고 했다.

이지윤 기자 leemail@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