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지원, 규제 없다” 약속…“신뢰 회복부터”

박기원 2024. 5. 26. 21: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창원] [앵커]

환경부가 이달 창녕과 합천에서 열기로 했던 취수원 다변화 사업 주민 설명회를 오는 7월로 미뤘습니다.

환경부는 설명회에서 규제 문제와 주민 지원 방안을 적극 설명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주민들은 잃어버린 신뢰 회복이 먼저라는 입장입니다.

보도에 박기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거창에서 합천댐을 거쳐 흐르는 황강입니다.

환경부는 황강물 취수량을 하루 45만 톤에서 19만 톤으로 줄였지만, 주민 반발은 여전합니다.

취수를 위해 합천댐 물을 추가 방류하면, 농업과 생활용수가 부족해진다는 것입니다.

주민들은 취수원 주변 추가 규제도 우려합니다.

환경부는 이곳 황강교 주변 취수를 계획했다가, 6.5㎞ 정도 떨어진 하류로 취수 지점을 옮겼습니다.

수위 저하를 최소화해 주민들을 설득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바뀐 취수 지점은 낙동강 합류 지점에서 2㎞가량 떨어진 청덕교 인근.

계획대로 취수했을 때 최대 8㎝가량 수위 저하가 있을 것으로 환경부는 내다봤습니다.

환경부는 합천댐 물을 사용하지 않고, 추가 입지 규제도 없다는 입장입니다.

앞서 취수시설이 들어선 강원도 평창과 창원 대산면에 상수원보호구역 신규 지정이 없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안성보/환경부 물이용정책과 서기관 : "신규 취수를 통해서 새롭게 규제가 발생하는 것은 없도록 해야된다라는게 가장 큰 대원칙이었습니다. 이것은 지금도 유효하고요."]

또, 주민 지원은 지난해 개정된 낙동강수계법에 따라 마을 단위와 가구에 직접 지원하는 방안 모두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지원 방안 마련에 앞서, 신뢰 회복이 먼저라고 강조합니다.

앞서 환경부가 사업 설계 예산을 주민 동의 없이 반영했고, 타당성 조사도 공표하지 않은 것이 불신을 키웠다는 것입니다.

[이종철/황강 광역취수반대 대책위 공동위원장 : "주민 동의를 먼저 구하고 모든 걸 시작해야 하는데, 2022년도 예타가 통과되면서 모든 게 정부 주도로 진행돼서 지역 주민들은 믿을 게 하나도 없다. 불신이 상당히 크죠."]

환경부는 자치단체 요청에 따라 이달 중 계획했던 주민 설명회를 오는 7월로 미뤘습니다.

KBS 뉴스 박기원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도원

박기원 기자 (pray@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